국가 연구 기관 등에 소모성 물품공급을 대행하는 MRO업체 A사의 기습 기업회생 신청으로 중소기업 및 영세 상인들이 A사로부터 약 3개월째 납품대금을 받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MRO(Maintenance, Repair and Operating)란, 기업에서 제품 생산과 직접 관련된 원자재를 제외한 소모성 자재를 이르는 용어다. 그 외에 소모성 자재구매 뿐 아니라 설비와 시설물 유지 보수를 대행하는 업무를 말한다.

1일 청와대 국민청원 게시판에 따르면 중소기업 및 영세 상인들은 지난달 30일 '수천 개 중소기업 및 영세 상인의 몰락 위기를 막아주세요'라는 제하의 청원글을 게재해 억울함을 호소했다.
이들 중 대전지역 업체는 140여 개에 달하며 미지급 대금은 45-50억 원 규모다.
최근 지역 업체들은 비상대책위원회를 구성하고 지난달 31일 한 정부출연연구기관에서 대책회의를 갖고 향후 대응방안을 모색했다.
이들은 MRO업체 A사가 국가기관에서 선정한 업체기 때문에 의심하지 않고 거래했지만 갑작스런 A사의 기업회생절차 통보로 자금 회수가 막히게 됐다는 것.
문제는 명절을 앞둔 데다 직원 급여, 공과금, 거래처 대금지급 등 자금난에 자칫 신용불량자로 내 몰릴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는 점이다.
이들은 "A사는 중소기업 및 영세업체의 물품을 받아 각 국가연구기관및 공공기관에 납품을 하고 국가기관으로 부터 대금 수령 후, 지난해 10월 말부터 지난달 15일 까지 물품을 납품한 전국 1283개의 중소기업 및 영세 상인들에게 납품대금지급을 하지 않고 기업회생철차를 신청했다"고 밝혔다.
이어 "(A사의 기업회생 신청으로)1283개의 수많은 납품업체들은 자금회전이 막혀 경영난을 겪고 있다"며 "지역 기반의 중소기업 및 영세 상인들은 갑작스러운 자금난에 부도 위기에 직면했다"고 성토했다.
그러면서 "국가기관에서 선정한 업체의 문제로 인해 발생된 본 사안의 문제를 풀어주시기를 바란다"며 "지금 당장 위기에 직면한 수 많은 영세 중소기업에게 살 수 있는 기회를 마련해 달라"고 호소했다.
이들은 "이 일을 초래한 A사 대표 및 관련자들을 철저히 조사하고 처벌해 다시는 이런 일이 재발하지 않도록 해 주길 바란다" 요청했다.
한편 해당 국민청원은 1일 오후 5시 1160여 명이 넘는 인원의 동의를 얻었다.


MRO와의 거래를 지시한 정부연구기관도 어느 정도 책임이 있다고 봅니다.
최종 구매자인 정부연구기관에서 MRO업체를 통해서 거래를 하라고 해서 했고 그것을 거부할수는 없는게 업계 분위기입니다.
결국 피해입은 중소업체들만 억울하게 생겼고 그 거래를 요청한 정부연구기관은 나몰라라 하는 상황에서 답답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