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문화재단, 대전 창의예술교육 랩 'C-Arts Lab'성과공유회 개최
대전문화재단, 대전 창의예술교육 랩 'C-Arts Lab'성과공유회 개최
  • 김용우 기자
  • 승인 2019.12.23 16:09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24일, 대전 최초 문화예술교육 연구개발(R&D) 지원사업 진행

대전문화재단(대표이사 박만우, 이하 재단)은 24일 대전 창의예술교육 랩 「C-Arts Lab」의 성과공유회를 개최, 올 한해 사업을 성공적으로 마무리하고 내년도 보다 내실있는 사업 운영을 위한 준비에 돌입한다.

UVR Lab 사전 미팅 장면
UVR Lab 사전 미팅 장면

대전 창의예술교육 랩 「C-Arts Lab」은 ‘문화적 도시재생과 문화도시 조성을 위한 예술·과학 융복합 문화예술교육 콘텐츠 연구소’로,‘C’는‘Creative(창의)’, ‘Convergence(융합)’,‘City(도시)’,‘Culture(문화)’ 등의 의미를 담고 있다.

지난 2월 문화체육관광부의‘2019 창의예술교육 랩 지원사업’공모에 선정되어 국비 2억 원을 확보, 대전시 예산 2억 원을 매칭하여 총 4억 원의 예산으로 진행된 지역 최초의 문화예술교육 연구개발(R&D) 지원사업이다.

「C-Arts Lab」은 새로운 과학기술이 접목된 유형의 융복합 문화예술교육 콘텐츠 개발을 위한 기관연계형「C-Arts Lab 1」과, 문화예술교육 현장의 고민과 문제의식 기반의 예술·과학 융복합 문화예술교육 콘텐츠 개발을 위한 공모형「C-Arts Lab 2」의 두 가지 유형으로 진행되었다.

 

Music and Audio Computing Lab의 ‘뮤직 인사이드 아웃’ 프로그램 시범 운영 장면
Music and Audio Computing Lab의 ‘뮤직 인사이드 아웃’ 프로그램 시범 운영 장면

대전에서 처음으로 시행되는 문화예술교육 콘텐츠 연구개발 사업인 만큼, 재단은 사업의 모든 단계에 세심하게 공을 들였다. 기관연계형 「C-Arts Lab 1」연구에서는 과학기술자와 예술기획자 간에 서로의 언어와 사고를 이해하고 소통하기 위한 시간과 노력이 무엇보다 중요했기에 예술적 사고와 과학적 사고의 융합 방식, 예술가와 과학자의 커뮤니케이션 방법 등에 대한 수차례의 연구자 워크숍을 거쳤다.

공모형「C-Arts Lab 2」의 경우, 문화예술교육 전문가와 리빙랩 전문가를 컨설턴트로 지정하고 도시 재생, 예술과 과학, 교육이라는 다각적인 관점을 문화예술교육 콘텐츠 안에 결합하는 방식에 대한 연구그룹별 심층 컨설팅을 진행하였다.

「C-Arts Lab」을 통해 연구개발된 프로그램은 10월 ~ 11월 동안 시민들을 대상으로 총 35차례의 시범 운영을 진행하여 문화예술교육 콘텐츠로서의 적합성 및 유효성을 점검하고 연구내용을 수정·보완하는 과정을 거쳤다. 그 결과 「C-Arts Lab 1」에서 4개, 「C-Arts Lab 2」에서 7개, 총 11개의 문화예술교육 콘텐츠 연구개발을 완료하였다.

재단은 기존의 문화예술교육 사업들과 연계하여, 「C-Arts Lab」을 통해 연구개발된 문화예술교육 콘텐츠를 지역 내에 보급하고 확산할 수 있도록 다양한 방안을 모색할 계획이다.

대전 창의예술교육 랩「C-Arts Lab」은 우리 지역의 문화예술교육 역량이 성장하기 위해서는 연구개발(R&D) 사업이 반드시 필요함을 인식하고 체감할 수 있었던 기회이자 지역의 지속가능한 연구개발 환경과 구조를 고민하는 첫걸음이었다는 것에서 의의가 크다.

또한 그간 재단 아티언스(Artience) 사업과 같이 창작지원 영역에서 예술·과학 협업 사례는 있어 왔지만, 문화예술교육 및 연구개발(R&D) 영역에서, 특히 지역 대학(KAIST)과의 연구개발 거버넌스를 처음으로 시작했다는 점도 매우 의미 있는 성과다.

박만우 대전문화재단 대표이사는“올해 창의예술교육 랩의 성과를 발판으로 삼아, 앞으로 문화예술교육 연구개발을 우리 지역 스스로 지속하고 확장할 수 있는 시스템을 구축하고 예산을 확보해 나가는 것이 중요하다”며, “이를 통해 대전 문화예술교육의 자생력과 선순환 성장구조가 확립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고 전했다.

기사가 마음에 드셨나요?

충청뉴스 좋은 기사 후원하기


※ 소중한 후원금은 더 좋은 기사를 만드는데 쓰겠습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