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ISTI 이슈 브리프] 연구자 중심 과학기술 데이터 생태계 활성화 전략
[KISTI 이슈 브리프] 연구자 중심 과학기술 데이터 생태계 활성화 전략
  • 김용우 기자
  • 승인 2020.03.30 21:49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과학기술 정보유통에서 마이데이터까지
KISTI ISSUE BRIEF 제19호 표지 이미지
KISTI ISSUE BRIEF 제19호 표지 이미지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은 연구자 중심의 과학기술 데이터 생태계 활성화 전략을 제시한 KISTI 이슈브리프 제19호를 발간했다고 30일 밝혔다.

이슈브리프를 요약하면 과학기술 혁신을 위해 연구자가 다양한 분야의 과학기술 정보와 데이터를 쉽게 확보·융합할 수 있는 데이터 생태계 구축의 중요성을 피력하고 있다.

기존 과학기술 정보 유통도 공급자 관점에서 공유 연구데이터와 개인정보를 연구자에게 맞게 선별해 서비스하는 연구자 중심의 과학기술 데이터 생태계가 요구되고 있는 점을 강조했다.

특히 연구자 중심의 과학기술 데이터 생태계 활성화 수단으로 마이데이터(MyData)에 대한 관심이 뜨겁다.

마이데이터는 개인이 요청하면 본인정보를 보유한 조직이 개인 혹은 개인이 지정한 제3자에게 정보를 제공하며, 개인이 자기정보 처리 과정에 관여하는 것을 지원하는 서비스를 일컫는다.

마이데이터 기반 과학기술 데이터 생태계에서 개인은 공공·사적 이익을 위해 자기정보를 제공하며, 연구자는 자신에게 맞는 연구용 개인정보, 공유 연구데이터, 과학기술 정보 등을 받을 수 있다. 이 과정을 통해 연구자 중심의 R&D 촉진, 산업 발전을 위한 혁신 창출, 연구자와 연구기관의 연구데이터 기반 이윤 창출까지 이어질 수 있다고 분석했다.

또 이용자 중심의 데이터 생태계 근간을 마련하기 위해 주요 선진국과 우리나라는 다양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는 점을 부각했다.

먼저 유럽 연합은 개인정보보호규정(GDPR)을 제정, 회원국이 이용자 중심의 데이터 생태계를 추진할 수 있는 법적 근거를 마련, 영국은 Midata 추진, 기업의 개인정보 공유 의무화, 오픈뱅킹과 에너지 개인화 서비스 발표 등 이용자 중심 서비스 확산에 주력하고 있다는 것.

또 미국은 연방정부 차원의 스마트 공시(Smart Disclosure)를 추진해 국민이 웹사이트에서 자기정보를 내려 받는 것을 지원, 우리나라는 마이데이터 도입을 위한 데이터 3법 개정안이 2020년 1월에 국회 통과됐고 마이데이터 실증서비스가 진행 중이라고 설명했다.

이와 함께 연구자 중심의 과학기술 데이터 생태계는 선진국에서 개인정보와 연구데이터의 통합·개방으로, 우리나라에서 개인화 방향으로 조성되고 있다는 점도 주목했다.

유럽 연합(Open Science Cloud)은 개인정보, 연구데이터가 통합된 공공 데이터와 연계되며 연구 정보의 저장·활용·공유가 가능하며, 미국(All of Us)은 미국 국립보건원이 추진하는 프로그램으로 참여자 개인의 건강 정보를 수집해 연구 목적용으로 개방한다고 덧붙였다.

일본(RADDAR-J)은 환자 개인정보를 바탕으로 희귀병 관련 연구데이터를 통합·개방하는 플랫폼이라고 소개, 우리나라(스칼라뱅크)는 마이데이터 실증서비스로 연구자 프로필, 연구 성과 등을 분석해 연구자에게 최적화된 연구 정보를 제공한다고 적시했다.

KISTI는 연구자 중심의 데이터 생태계를 활성화하기 위해서 개인의 본인정보 제공 독려, 개인정보 공유·활용 가이드라인 수립, 기업의 생태계 참여 촉진 등 여러 정책적·제도적 방안들을 모색해야 한다고 분석했다.

특히 통합된 개인정보를 사회경제적 이슈 해결에 활용하는 이른바 개인정보의 공적 활용에 대한 논의가 필요하다고도 했다. ‘국가와 국민을 위한’, ‘데이터 경제를 대비하는’ 방향으로 과학기술 데이터 생태계를 발전시킬 전략을 도출해야 한다는 것.

이 밖에도 자연재해, 환경문제, 전염병 등의 사회문제 해결을 위해 다양한 데이터 활용이 가능한 과학기술 데이터 생태계를 조성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또한, 누구나 접근할 수 있는 데이터를 바탕으로 문제 인식과 개선 그리고 새로운 아이디어가 도출되는 생태계 환경을 조성해 사회구성원 모두에게 이익이 되는 비즈니스 창출을 촉진해야 한다고 부연했다.

KISTI 최희윤 원장은 “새로운 R&D 패러다임 변화에 대한 요구 앞에서 우리는 이제 공급자 중심에서 연구자 중심으로 과학기술 데이터 생태계 전환을 논의해야 한다”며 “KISTI는 연구자 중심의 과학기술 데이터 생태계 조성과 활성화에 적극적인 노력을 기울이겠다”고 밝혔다.

한편 KISTI는 데이터가 경제사회 발전의 핵심 자원이 되는 데이터 경제 시대에 연구자가 다양한 데이터를 쉽게 확보·융합하는 것이 중요해짐에 따라 연구자 중심의 과학기술 데이터 생태계 활성화 전략을 제시한 KISTI 이슈브리프를 발간하고 있다.

기사가 마음에 드셨나요?

충청뉴스 좋은 기사 후원하기


※ 소중한 후원금은 더 좋은 기사를 만드는데 쓰겠습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