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복지재단, 사회서비스원으로 다시 태어난다
대전복지재단, 사회서비스원으로 다시 태어난다
  • 성희제 기자
  • 승인 2020.04.28 15:46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대전시 보건복지부 공모사업 최종 선정... 14억 원 투입 조직 개편
국공립어린이집 직영, 종합재가센터 설치, 복지플랫폼 마련 등 담당
시정브리핑하는 허태정 대전시장
시정브리핑하는 허태정 대전시장

대전시민에게 제공되는 복지서비스의 질이 한 단계 높아질 전망이다. 대전시가 사회서비스원 사업체 공모에 최종 선정돼 종합재가센터 설치 등이 추진되게 된 것.

대전시는 보건복지부가 실시한 ‘2020년 2단계 사회서비스원’ 설치 대상지역 공모에 최종 선정됐다고 28일 밝혔다.

이에 따라 시는 복지부 지원 국비 9억 8000만 원 등 총 14억 6000만 원을 투입해, 올해 7월부터 사회서비스원 설립 및 국공립시설 수탁, 종합재가센터 설치 등을 추진한다.

사회서비스원은 문재인 정부 국정과제이자, 민선 7기 허태정 시장 약속사업이다. 사회서비스의 공공성과 투명성을 높이고 서비스 종사자의 일자리 질을 높이기 위해 추진된다.

현재 시는 기존 복지재단을 사회서비스원으로 전환해 기관을 설립·운영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다. 시 복지인프라와 재정부담, 업무 중복성 문제 등을 고려한 조치라는 것이 시의 설명이다.

시는 복지재단의 사회서비스원 전환을 위해, 각계의 의견을 청취한 뒤 전환절차를 진행해 내년 1월까지 사회서비스원을 개원한다는 계획이다.

현 대전복지재단 조직을 1실 4부의 사회서비스원 본부와 직영(산하)시설로 개편해, 내년 개원 시 본부와 12개 직영시설 및 센터, 인력 427명 규모의 조직을 출범시키겠다는 것.

새롭게 설립되는 대전사회서비스원은 복지재단이 수행해 온 정책연구, 민간협력 사업과 사회서비스 직접 제공기능을 함께 수행해 대전지역 복지정책과 지원의 컨트롤타워 역할을 하게 될 전망이다.

대전사회서비스원은 향후 ▲2025년까지 국공립어린이집 등 33개 시설 운영 ▲장기요양, 노인돌봄, 장애인활동보조 등 재가서비스 통합·연계 제공 ▲민간기관 상담·자문, 대체인력 파견, 시설안전 점검 지원 등을 수행한다.

또 대전시 복지정책과 사회서비스 표준모델 개발, 종사자 교육, 돌봄 특수시책 추진, 복지 플랫폼 마련 등 복지서비스 제공을 한층 강화할 계획이다.

허태정 대전시장은 “사회서비스원을 통해 이용자에게 믿고 맡길 수 있는 질 높은 서비스를 제공하면서, 종사자에게는 보다 안정적인 일자리제공과 처우 개선으로 시민 모두가 만족할 수 있는 복지공동체 대전을 만들어 갈 것”이라며 “성공적인 설립과 운영을 위해 5개 자치구, 관련 기관들과 협력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기사가 마음에 드셨나요?

충청뉴스 좋은 기사 후원하기


※ 소중한 후원금은 더 좋은 기사를 만드는데 쓰겠습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