앞으로는 면세범위 초과물품이나 위장 반입 등 세관 통관 시 불법행위가 불가능해질 전망이다.
기초과학연구원(IBS)은 수리및계산과학연구단 데이터사이언스그룹 차미영 CI(Chief Investigator) 연구팀이 스마트 관세 행정을 위한 알고리즘 개발을 마쳤다고 29일 밝혔다.
데이터사이언스그룹은 지난해 9월부터 세계관세기구(WCO) ‘바꾸다 프로젝트’에 참여해 알고리즘 개발을 주도해 왔다.
앞서 WCO는 지난 3월 홈페이지를 통해 “세관 데이터 분석(BAnd of CUstons Data Analysis) 앞 글자를 따 바꾸다 프로젝트로 이름 지었다”며 “한글로 변화를 뜻하는 것처럼 스마트 관세체계로의 변화를 추구하는 회원국들을 돕기위해 데이터과학자들과 협업을 시작했다”고 알리기도 했다.
IBS가 WCO, 대만 국립성공대와 함께 개발한 알고리즘 데이트(DATE)는 불법적 행위 발생 가능성이 높으면서도 세수 확보에 도움이 되는 물품을 우선적으로 선별해 세관원에게 알린다.
기존 알고리즘은 세관 검사 대상만 추천했으나, 데이트는 검사 대상의 선별 이유까지 설명해줌으로써 사기 적발의 근거를 세관원이 충분히 확보할 수 있다는 특징이 있다.
김선동 IBS 연구위원은 “설명력이 훌륭한 데이트는 인간개입(human-in-the-loop)으로 작동하는 현 세관 시스템에 가장 적합한 알고리즘”이라며 “저위험 물품 검사 에 쓰이는 세관원의 불필요한 노동을 줄이고, 복잡한 통관 프로세스를 효율화하는 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바꾸다 그룹은 지난 3월 나이지리아의 틴캔(Tin Can)과 온네(Onne) 항구에 데이트를 시범 도입했다. 사전 테스트 결과 기존의 전수 조사 통관 방법에 비해 40배 이상 효율적으로 세관 사기를 적발할 수 있음이 확인됐다.
연구팀은 시범운영을 마치면 알고리즘을 개선하고, 기술이전을 통해 WCO 회원국 대상으로 확대 적용해나갈 계획이다.
차미영 CI는 “데이트는 세관원들의 물품 검사 및 적발된 수입자와의 소통을 도와줌으로써 스마트 세관 행정 정착에 큰 기여를 할 것”이라며 “향후 물품의 X선 이미지를 활용하거나, 전이 학습을 통해 여러 국가의 통관 데이터를 함께 활용하는 방법까지 추가해 알고리즘의 정확성을 높여나갈 계획”이라고 밝혔다.
한편 데이터 사이언스 그룹은 데이트 개발 성과를 오는 8월 데이터 마이닝 및 인공지능 분야의 최고 학술대회인 ACM SIGKDD 2020에서 발표할 예정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