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와 같은 감염병 대응을 위한 ICT 체외진단 융복합 기술 개발이 본격 추진될 전망이다.
나노종합기술원은 3일 나노인프라 기반 의료현장형 ICT 융복합 체외진단 산업기반 구축 및 기술력 강화를 위한 사업에 본격 착수한다고 밝혔다.
의료헬스케어산업은 단순 치료중심 성장한계와 첨단기술 발달로 예방·예측 및 상시 모니터링 구현을 위한 첨단 ICT 융복합 기술의 필요성이 증대되고 있다.
특히 체외진단기기 산업은 진단시약, 센서, 디바이스, 통신 기술이 요구되는 대표 융합산업으로 타 산업대비 융복합 기술과 인프라 기반 구축이 절실한 상황이다.
나노종합기술원은 ICT 융복합 체외진단 지역거점 구축과 일상생활에서 관리·검사가 필요한 질환·질병에 대한 체외진단 수요에 부응하기 위해 대전시와 참여기관 등과 협력을 통해 스마트 특성화 기반 구축사업을 추진한다.
이번 사업은 ▲메디바이오 산업 고도화 ▲의료현장형 ICT 융복합 체외진단 기업 지원 ▲신규 ICT 융복합 헤외진단 혁신기술·서비스 지원기반 체계구축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주요 지원분야는 ▲국내외 고감염성 질환 등 체외진단 분야 ▲일상생활 내 체외진단이 필요한 분야로 코로나 관련 기업을 긴급 선별, 지원할 예정이다.
이조원 원장은 “이번 사업을 통해 ICT 융복합 체외진단 관련 원스톱 지원체계를 고도화해 관련 산업의 국산화 및 글로벌화에 기여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저작권자 © 충청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