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IST, 안 타는 친환경 플라스틱 개발
KIST, 안 타는 친환경 플라스틱 개발
  • 이성현 기자
  • 승인 2020.06.09 12: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탄닌산을 이용한 바이오에폭시 기반 무독성 난연 복합소재

불에 타지 않는 친환경 탄소 플라스틱이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연구진에 의해 개발됐다.

KIST 연구진이 개발한 식물 유래 비할로겐 난연 탄소섬유강화플라스틱
KIST 연구진이 개발한 식물 유래 비할로겐 난연 탄소섬유강화플라스틱

KIST는 9일 구조용복합소재연구센터 정용채 센터장 연구팀은 식물로부터 유래한 탄닌산(Tannin Acid)을 이용해 난연성 탄소섬유강화플라스틱(CFRP, Carbon fiber reinforced plastics)을 개발했다고 밝혔다.

강철보다 1/4 정도로 가볍고 10배나 강한 탄소섬유를 이용한 복합재료인 CFRP는 항공우주, 자동차, 선박, 스포츠용품 등 산업 전반에 걸쳐 다양하게 활용되고 있다.

열에 취약한 CFRP는 그동안 화재 안전성을 위해 할로겐 난연제를 사용해 왔는데 불에 태워 재활용(고온 소각)하는 CFRP에 연소 시 독성물질이 발생하는 할로겐 물질을 사용하는 것은 적절치 못해 세계적으로 금지됐다.

이에 KIST 정용채 센터장은 식물에서 얻을 수 있는 친환경 물질인 탄닌산을 이용, 기계적 강도와 난연성을 증진시키고자 했다. 탄닌산은 탄소섬유와 강하게 접착되는 성질이 있다.

이뿐 아니라 탄닌산은 불에 탈 때 숯으로 변하는데 이 숯은 외부의 산소를 차단하는 벽(Char)이 되어 불이 확산되는 것을 막는다. 연구진은 탄닌산으로 에폭시 수지를 제작하고 탄소섬유와 복합화하여 튼튼하고 불에 타지 않는 CFRP를 개발할 수 있었다.

탄닌산으로 제작한 에폭시 수지는 열에 취약하던 기존과는 달리 난연성이 있으므로 별도의 첨가제가 필요하지 않아 불에 태워 CFRP를 재활용할 때 발생하던 독성물질이 더 이상 발생하지 않게 됐다. 또 불에 태우면 탄소섬유의 성능이 저하돼 완전한 재활용을 할 수 없었는데 연구진은 새로운 재활용 방법을 제시했다.

KIST 정용채 센터장은 “기존 탄소섬유강화플라스틱의 취약한 난연성, 기계적 강도, 그리고 재활용 특성 향상과 응용범위가 확대된 복합소재를 제조했고 그 소재의 응용범위를 제시했다는데 의의가 있다”며 “향후 보다 향상된 물성확보를 위해서 구조를 검토하고 응용범위를 확대할 예정”라고 밝혔다.

이번 연구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 최기영) 지원으로 KIST 주요사업으로 수행됐으며 재료과학 및 복합소재 분야 1위 국제저널인 ‘Composite Part B: Engineering’(JCR 분야 상위 2.0%)에 게재됐다.

기사가 마음에 드셨나요?

충청뉴스 좋은 기사 후원하기


※ 소중한 후원금은 더 좋은 기사를 만드는데 쓰겠습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