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시 체육시설 안전관리 문제 도마 위
대전시 체육시설 안전관리 문제 도마 위
  • 이성현 기자
  • 승인 2020.06.12 10:02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지난 2일 대덕구 청소년 수련시설 체육관서 심장마비 사망사고
자치구 조례엔 안전관리요원 배치 의무 규정 없어

대전 대덕구에 위치한 한 청소년 수련시설에서 지난 2일 사망사고가 발생한 것이 뒤늦게 알려지며 체육시설 안전관리 문제가 도마 위에 올랐다.

지난 2일 대전 대덕구 한 청소년 수련시설 체육관에서 사망사고가 발생했다.
지난 2일 대전 대덕구 한 청소년 수련시설 체육관에서 사망사고가 발생했다.

특히 이러한 사고가 발생했지만 해당 시설에 대한 감사나 조사 등 아무런 조치가 없어 사실상 관할 구청에서 손을 놓고 있다는 지적이다.

구청과 소방 등에 따르면 지난 2일 오후 7시 7분경 지역 탁구동호회 소속 60대 남성 A씨가 청소년 수련시설 체육관에서 탁구를 치던 중 심장마비로 인해 쓰러졌다.

A씨는 다른 동호회 회원과 출동한 119구급대의 심폐소생술을 받으며 인근 병원으로 옮겨졌지만 결국 숨졌다.

해당 동호회는 수련시설에 한 달에 일정 대금을 지불하고 체육관을 대관해 온 것으로 알려졌다.

문제는 A씨가 쓰러질 당시 체육관 내에 안전관리요원이 없었다는 데서 나온다.

동호회 혹은 단체에서 체육관을 대관·이용 시 안전관리 주체는 누구에게 있느냐는 것이다.

대덕구 체육시설 관리 및 운영 조례 시행규칙을 살펴보면 수영장이나 체력단련장의 경우 생활체육지도자 자격증이나 안전교육을 이수한 전문가들을 안전관리요원으로 배치하도록 돼 있지만 실내 체육관의 경우 안전관리에 대한 규칙이 전무한 상태다.

이는 비단 대덕구만의 문제가 아니다. 나머지 4개 자치구 조례를 살펴본 결과, 체육관 안전관리요원 배치에 대한 내용은 찾아볼 수 없었고 아예 안전관리요원에 대한 규칙이 없는 곳도 있었다.

상위 기관인 대전시 자치법규에도 체육지도사를 둘 수 있다는 내용뿐이었다.

이에 대해 대전시의회 한 의원은 “안전관리요원을 둬야 한다는 규칙이 없다고, 인력이 없다는 핑계로 안전관리에 나서지 않는다면 나중에도 또 똑같은 일이 벌어졌을 땐 어떻게 할 것이냐”고 우려를 나타냈다.

기사가 마음에 드셨나요?

충청뉴스 좋은 기사 후원하기


※ 소중한 후원금은 더 좋은 기사를 만드는데 쓰겠습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