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방형데이터(DDS, Data Driven Solutions) 융합연구단이 19일 부산정보산업진흥원에서 현판식을 개최하고 출범을 알렸다.
DDS 융합연구단은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을 중심으로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 및 부산시와 함께 부산지역 특화 현안을 발굴하고 인공지능 기술과 지역 공공성 데이터를 활용한 문제 해결과 실증 역할을 맡는다.
이와 함께 융합연구단은 양산부산대병원, 부산정보산업진흥원, 부산외대, 중앙대, 충남대 등과 기술 협력을 통해 개방형 데이터 솔루션 개발에 매진할 예정이다.
융합연구단의 중점 연구 분야는 ▲낮은 데이터 품질 및 산업적 활용도 증가를 위한 지능형 공동데이터 구축 ▲제4차 산업혁명 신산업 분야, 공공데이터 공유 및 활성화 위한 고신뢰 오픈 지식플랫폼 개발 ▲실시간 공공 데이터 전달 및 공유 플랫폼 개발 ▲의료질환 빅데이터 기반 머신러닝 진단 및 인공지능 신산업거점 육성 테스트베드 구축 ▲오픈 이노베이션 기반 개방형 데이터 솔루션 개발 등이 있다.
또 DDS융합연구단은 ‘AI기술을 활용한 공공데이터 기반 지역현안 솔루션 개발 및 실용화’를 연구하는 국가과학기술연구회(NST)의 융합연구사업으로 지원하는 연구단 과제로서 연구진은 오는 2022년 말까지 인공지능, IoT, 빅데이터 등 데이터 기반 산업 경쟁력을 확보하고 혁신 창업 및 강소기업 육성을 위한 핵심 원천 데이터 지식화와 인공지능 기술 활용을 통한 안전·안심사회 실현을 꾀할 계획이다.
DDS융합연구단 최기석 단장은 “공공데이터를 이용한 사회 현안 문제 해결을 위해서는 데이터, 플랫폼 구축에서부터 인공지능 기술 활용 및 실증까지 다양한 분야별 전문기관의 융합 연구가 핵심이므로 기관 간의 협업을 위해서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KISTI 최희윤 원장은 “본 융합연구단 출범을 통해 과학기술정보 분야에서 KISTI가 수십 년간 축적해 온 데이터 기반 역량과 인프라를 공공데이터 영역에 적용할 좋은 기회이며 이를 바탕으로 데이터 기반의 국가와 지역사회 및 산업계 기술 현안을 해결하고 신산업 활성화를 위해 적극 지원하겠다”고 강조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