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기장으로 물체 감지...자체 무게보다 60배 무거운 물체 포획
한국연구재단이 16일 서울대 선정윤·김호영 교수 연구팀이 거미의 행동을 모사해 주변 물체를 감지해 포획하느 거미줄 로봇을 개발했다고 밝혔다.
재단에 따르면 손바닥 크기의 방사형 거미줄 모양과 비슷한 이 로봇은 샤프심 두께의 신축성 있는 전도성 섬유소재를 배열해 만들었다.
섬유소재는 전극 역할을 하는 오가노젤(organogel)을 절연체 역할을 하는 실리콘 탄성체로 둘러싸는 방식으로 만들어졌다.
거미줄 로봇은 물체 표면에서 나오는 전기장을 감지해 상대적 거리를 파악하고 물체가 다가왔을 때 강력한 전기장을 만들어 인력으로 달라붙도록 해 물체를 포획한다.
또한 이런 전기적 효과를 통해 거미줄에 붙은 오염물을 제거하는 등의 기능도 갖고 있다.
연구팀 실험 결과, 이 로봇의 거미줄은 원래 길이의 3배까지 늘어날 수 있고 자체 무게(0.2g)보다 68배 무거운 물체를 포획해 냈다. 또 반투명 소재로 만들어 다양한 위장하는 데도 유리할 것으로 보인다.
연구팀은 향후 차세대 인공 근육 및 전자 피부, 로봇 팔 등에 거미줄 로봇을 통한 추가적인 기능성을 부여해 활용범위를 확장시킬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한편 이번 연구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한국연구재단 나노소재기술개발사업, 리더연구지원사업, 선도연구센터지원사업 지원으로 수행도ᅟᅤᆻ으며 로봇공학 분야 세계적 학술지‘사이언스 로보틱스 (Science Robotics)’저널 표지논문으로 게재됐다.
저작권자 © 충청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