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이 “중국발 미세먼지가 국내 오염물질과 만나 악화된다”고 밝혔다.
28일 KIST에 따르면 환경복지연구세센터 김진영 박사 연구팀이 중국발 미세먼지 유입이 국내에서 배출된 질소산화물(NOx)과의 상호작용을 통해 수도권 초미세먼지 오염을 더욱 악화시키는 과정을 규명했다.
연구팀은 먼저 초미세먼지를 측정일별로 해외 유입, 국내 대기 정체, 해외 유입 및 국내 대기 정체 등 3가지 조건으로 분류, 각각 열역학적 특성을 분석했다.
그 결과, 해외 미세먼지 유입이 없는 대기 정체 조건에서는 34μg/m3였던 초미세먼지 농도가 중국발 미세먼지가 유입될 경우 53μg/m3로 높아졌다.
여기에 국내 대기가 정체될 경우 72μg/m3으로 가장 높은 농도를 보였으며 중국발 미세먼지 유입이 있는 경우 초미세먼지 내 황산염, 질산염, 암모늄 등 2차 생성 오염물질 성분과 수분이 풍부한 것을 확인했다.
김진영 박사는 “이번 연구를 통해 중국발 미세먼지가 국내 자동차 및 산업시설에서 배출되는 질소산화물과 함께 수도권 초미세먼지 농도를 증가시키는 복합적인 기작을 구체적으로 밝힐 수 있었다”며 “이 연구가 향후 더욱 효과적인 수도권 초미세먼지 관리 정책에 대한 밑거름이 되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한편 이번 연구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환경부, 보건복지부 지원으로 한국연구재단 미세먼지 범부처 프로젝트 사업 및 기초연구사업으로 수행됐으며 기상 및 대기과학 분야 국제학술지 ‘Atmospheric Chemistry and Physics’에 온라인 게재됐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