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연구재단은 28일 연세대 명재민 교수 연구팀이 전기화학발광 물질 기반 착용 가능한 압력 감응 발광센서를 개발했다고 밝혔다.
그동안 압력 감응 발광센서는 구조가 복합하고 재료가 비싸 활용하는 데 어려움이 있었고, 높은 전압을 요구해 인체에 부착하기에 위험했다.
이에 연구팀은 전기화학발광 물질을 겔(gel)형으로 제작해 발광층으로 사용했다.
산화환원 반응을 기반으로 하는 전기화학발광 물질을 활용하면 저전압에서 안정적인 발광이 가능하고, 특히 기존 유기발광 소자(OLED)와 다르게 전극만으로 발광할 수 있는 간단한 구조로 만들 수 있다.
개발된 압력감응 발광센서는 외부 자극의 모양, 크기 및 위치를 즉각적으로 표시할 수 있고, 인체에 붙여 동작 감지 센서로 작동시킬 수 있었다.
이번 연구성과는 인체나 로봇의 관절에 부착할 수 있는 센서 및 대화형 디스플레이 분야의 새로운 활용 가능성을 제시할 것으로 연구팀은 기대하고 있다.
한편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한국연구재단이 추진하는 중견연구지원사업의 지원으로 수행된 이번 연구성과는 나노과학 분야 국제학술지 ‘에이씨에스 나노(ACS Nano)’에 게재됐다.
저작권자 © 충청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