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자력연, 원전 해체 핵심기술 실용화 2단계 돌입
원자력연, 원전 해체 핵심기술 실용화 2단계 돌입
  • 이성현 기자
  • 승인 2020.07.29 11:22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28일 국내 원자력 전문 산업체들과 협약 체결

한국원자력연이 시작한 국내 원전 해체 핵심기술 실용화가 2단계에 돌입했다.

원자력연구원이 28일 세안에너텍, 선광티앤에스, 경인테크, 하이에어코리아, 라드솔과 해체핵심기술 실용화 협약을 체결했다
원자력연구원이 28일 세안에너텍, 선광티앤에스, 경인테크, 하이에어코리아, 라드솔과 해체핵심기술 실용화 협약을 체결했다.

원자력연은 28일 국내 원자력 전문 산업체들과 원자력시설 해체 핵심기술 상용화를 위한 협약을 체결했다고 29일 밝혔다.

앞서 원자력연은 2017년 4개 기술에 대한 1단계 실용화 사업을 시작해 지난해 성공적으로 마무리했다. 이번 실용화 협약 역시 지난 사업 성공으로 형성된 산업체 협력 플랫폼을 기반으로 한다.

원자력연은 이미 확보한 핵심기술 중 실용화 가능성이 높은 4개 분야와 그에 최적화된 전문 기업을 선정했다.

이에 따라 2021년까지 ▲방사화 구조물 방사능 연속분포 현장측정 기술(세안에너텍) ▲해체 기기 및 설비 거품제염 기술(선광티앤에스) ▲고하중 취급 원격 정밀 제어 기술(경인테크) ▲폐활성탄 열화학적 처리기술(하이에어코리아, 라드솔)에 대한 현장 검증을 통해 핵심기술의 완성도를 제고할 계획이다.

세부적으로 살펴보면 ‘방사화 구조물 방사능 연속분포 현장측정 기술’은 방사선을 방출하는 구조물의 방사능을 측정하는 시스템과 그 영향을 평가하는 알고리즘을 통합한 기술로 ㈜세안에너텍과 함께 원전 현장에서 성능 평가와 기술 검증을 진행할 계획이다.

㈜선광티앤에스와 실용화를 추진할 ‘해체 기기 및 설비 거품제염 기술’은 해체한 원자력시설을 거품으로 제염하는 기술로 작업자의 피폭을 줄이고 제염 후 발생하는 2차 폐기물을 줄이기 위해 기술을 고도화, 실용화할 예정이다.

‘고하중 취급 원격 정밀 제어기술’은 원자로 핵심설비를 원거리에서 자유롭게 절단하고 철거할 수 있는 원격 매니퓰레이터 및 제어시스템으로 전기식 구동장치 전문기업인 ㈜경인테크와 실제 해체 현장과 유사한 환경에서 실용화를 추진한다.

‘폐활성탄 열화학적 처리기술’은 공기정화계통을 해체하는 과정에서 생기는 폐활성탄을 열화학적으로 처리하는 기술로 해체 현장에 설치하기 쉽도록 공정을 집적화시키는 것이 관건이다. 연구원은 ㈜하이에어코리아, ㈜라드솔과 함께 집적화시킨 공정을 파일럿 규모로 설계, 제작해 원전현장에서 검증할 계획이다.

서범경 해체기술연구부장은 “독자적으로 해체 기술을 확보하고 산업체와 기술 타당성을 평가하는 일련의 과정으로 해체기술 검증 인프라와 인력이 착실히 준비되고 해체 산업 생태계 플랫폼이 성공적으로 마련됐다”며 “이번 실용화 협약 역시 해체 핵심기술 확보 후 실용화와 상용화로 이어지는 유기적 로드맵을 통한 산·학·연 협력의 효과가 기대된다”고 말했다.

한편 원전 해체 핵심기술은 해체준비, 제염, 절단, 폐기물 처리, 환경 복원 총 5단계와 38개 기술로 분류한다. 현재 우리나라는 38개 핵심기술 중 28개를 이미 확보했으며 아직 확보하지 못한 10개 기술 대부분도 실험실 수준의 성능 검증 단계에 진입한 상황이다.

기사가 마음에 드셨나요?

충청뉴스 좋은 기사 후원하기


※ 소중한 후원금은 더 좋은 기사를 만드는데 쓰겠습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