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중앙과학관, 국가중요과학기술자료 등록 공고
국립중앙과학관, 국가중요과학기술자료 등록 공고
  • 이성현 기자
  • 승인 2020.07.29 14:43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핵융합 플라즈마 발생장치 SNUT-79, 국산 1호 항공기 ‘부활’, 대동여지전도, 동국팔도지도

국립중앙과학관이 올해 상반기 국가중요과학기술자료 4건 등록을 공고하고 등록증 수여식을 개최했다고 29일 밝혔다.

(왼쪽부터) 핵융합 플라즈마 발생장치 SNUT-79, 국산 1호 항공기 '부활', 대동여지전도
(왼쪽부터) 핵융합 플라즈마 발생장치 SNUT-79, 국산 1호 항공기 '부활', 대동여지전도

중앙과학관에 따르면 국가중요과학기술자료 등록제는 과학기술에 관한 역사적·교육적 가치가 높고 후대에 계승할 필요가 있는 자료를 등록해 보존·관리를 지원하는 제도로 지난해 처음 12건이 등록되고 이번이 두 번째다.

이번에 등록된 자료는 국가핵융합연구소의 핵융합 플라즈마 발생장치 ‘SNUT-79’와 공군사관학교 공군박물관의 국산 1호 항공기 ‘부활’, 국립중앙과학관이 보관 중인 대동여지전도와 동국팔도지도 등 총 4건이다.

SNUT-79는 우리나라 최초 핵융합 연구장치로 ’망치 과학자’로 알려진 故 정기형 서울대 교수와 제자들이 개발하였다.

1979년에 개발을 시작해 1984년 완공했고 1989년까지 첫 플라즈마 생성부터 플라즈마 저항 가열실험, 중성빔 입사장치 설계제작 연구 등을 수행했다. 장치 제작과 운영과정에서 다수의 석·박사가 배출됐는데, 이들은 추후 국내 초전도핵융합연구장치 KSTAR의 개발을 이끄는 주역이 됐다.

국산 1호 항공기 ’부활‘은 우리 손으로 설계하고 제작해 우리 영공을 가로지른 첫 항공기이다.

6.25전쟁 당시 정비교육대 교관과 조교들의 비행기 설계제작 실습 및 경비행기의 국산화 가능성 검증을 목적으로 이원복 소령과 작업반원 20여 명이 기존의 엔진, 프로펠러, 강착장치, 계기 등을 사용하되 동체 및 날개와 같은 기체의 구성품은 독자적인 구조로 1953년에 설계・제작했다.

수십 년간 사라졌다가 2004년에 대구 소재의 한 공고에서 동체와 일부 부품을 찾았고 현재는 과거의 모습을 복원해 관리하고 있다.

(윗줄 왼쪽부터) 경기부충청도, 전라도, 경상도, 황해도 (아랫줄 왼쪽부터) 강원도, 평안도, 함경남도, 함경북도를 담은 동국팔도지도
(윗줄 왼쪽부터) 경기부충청도, 전라도, 경상도, 황해도 (아랫줄 왼쪽부터) 강원도, 평안도, 함경남도, 함경북도를 담은 동국팔도지도

대동여지전도는 김정호의 대동여지도를 모본으로 삼아 축소해 그린 이경(二京) 판본으로 액자에 표구돼 있다.

가로 65.2cm, 세로 111cm로 네 개의 목판을 하나의 목판본으로 제작된 이 자료에는 우리 조상들의 산천인식체계가 비교적 잘 반영되어 있고, 도로망과 거리의 표시, 조수 영향권 등이 표시돼 있다.

또 도로망 정보에 있어 간선도로뿐만 아니라 지선(支線)까지 자세하게 표현된 점과 1m 정도 크기를 가지는 한 개의 목판본으로 제작돼 대중용 지도로서 높은 활용도를 가졌을 것으로 평가받았다.

동국팔도지도는 조선후기의 지리학자인 정상기(鄭尙驥, 1678~1752)의 동국지도를 모본으로 한 채색필사본 지도다.

동국팔도지도의 과학기술적 특징은 정상기가 창안한 백리척의 작도법을 반영해 산지가 많은 우리나라의 지리적 특성을 고려하여 지도의 정확성을 높인 점이다.

중앙과학관 관계자는 “국가중요과학기술자료 등록제도는 과거를 다루지만 현재 및 미래와 맞닿아 있다”며 “과거 우리 과학기술인들이 이룩해온 중요한 성과와 독창성, 국민생활 향상, 과학기술문화 확산은 현대사회의 원천으로 여전히 남아 있고, 미래사회가 당면할 문제해결의 본보기가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국가중요과학기술자료를 발굴하여 심의를 통한 등록뿐만 아니라, 실태조사를 통해 정기적으로 상태를 점검하고, 수리가 필요한 자료들은 보존처리, 복원 등이 이뤄질 수 있도록 체계화된 시스템을 마련해 나가겠다”라고 말했다.

기사가 마음에 드셨나요?

충청뉴스 좋은 기사 후원하기


※ 소중한 후원금은 더 좋은 기사를 만드는데 쓰겠습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