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IST, 자동 공진 에너지 하베스터 개발
KIST, 자동 공진 에너지 하베스터 개발
  • 이성현 기자
  • 승인 2020.09.01 12: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사물인터넷(IoT)이나 소형 전자기기의 독립 전원으로 응용 기대

스스로 튜닝하며 진동 에너지를 흡수·발전하는 에너지 하베스터가 국내 연구진에 의해 개발됐다.

KIST 송현철 박사팀이 개발한 주변환경의 진동에 스스로 공진을 맞춰 에너지를 생산하는 에너지 하베스터.
KIST 송현철 박사팀이 개발한 주변환경의 진동에 스스로 공진을 맞춰 에너지를 생산하는 에너지 하베스터.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은 전자재료연구단 송현철 박사 연구팀이 자동 공진 튜닝 에너지 하베스터를 개발했다고 1일 밝혔다.

에너지 하베스팅은 진동이나 열과 같이 우리 주변에 버려지는 에너지들을 수확해 자가 발전하는 기술로 사물인터넷 등 작은 전자기기에서 배터리 대신 독립전원으로 유용하게 활용된다.

그동안은 튜닝용 모터와 콘트롤러를 구동하기 위한 에너지 소모가 커 발전 효율이 크게 떨어졌는데, 연구진은 하베스터 내부에 자율적으로 움직이는 추를 부착해 이를 해결했다.

추는 주변 진동을 감지하면 스스로 다른 위치로 이동하고 외부 진동과 같은 진동수를 갖게 돼 다양한 진동과 공진할 수 있다. 연구진은 기존보다 공진 주파수 대역을 1400% 이상 향상시키는 결과를 얻었다.

송현철 박사는 “향후 4차 산업혁명의 핵심기술 중 하나인 사물인터넷을 비롯하여, 무선 센서 네트워크나 웨어러블 전자기기의 자율독립전원으로써 자가 튜닝 에너지 하베스터가 핵심적 역할을 수행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한편 이번 연구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지원으로 KIST 주요사업과 에너지기술평가원 에너지기술개발사업 및 국가과학기술연구회 창의형융합연구사업으로 수행됐으며 에너지 분야 국제 학술지인 ‘Nano Energy’(IF : 16.602, JCR 4.088%)의 최신 호에 게재됐다.

기사가 마음에 드셨나요?

충청뉴스 좋은 기사 후원하기


※ 소중한 후원금은 더 좋은 기사를 만드는데 쓰겠습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