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연구진이 밀폐된 공간에서 유해가스를 감지해 안전사고를 예방하는 감지 센서를 개발했다.
한국과학기술원(KAIST)은 1일 전기및전자공학부 윤준보 교수 연구팀이 독자 개발한 나노 소재 나노린을 통해 초저전력 유해가스 감지 센서를 개발했다고 밝혔다.
이번 기술은 기존 나노 소재 제작 방법과 달리, 인반 반도체 공정을 기반으로 제작해 양산성이 뛰어나고 산업적 활용 가치 또한 매우 높다.
연구팀은 우선 나노린을 초저전력 나노 히터에 활용했다. 그 결과, 나노 소재가 지닌 고유 열 고립 효과를 통해 초저전력 고온 구동에 성공했다.
여기에 금속산화물 나노와이어를 일체형으로 집적해 가스센서로 응용하면서 낮은 소비 전력으로 일산화탄소 가스 검출에 성공했다.
윤준보 교수는 "상시 동작형 가스 센서는 언제 어디서나 유해가스의 위험을 알려주는 스마트폰 속 카나리아로 활용이 기대된다ˮ고 말했다.
제1 저자인 KAIST 전기및전자공학부 최광욱 박사는 "이 기술이 가스 사고를 사전에 차단하고 인명 사고를 막는 데 활용되길 기대한다ˮ고 했다.
한편 KAIST UP 프로그램과 한국연구재단의 중견연구자 지원사업을 통해 수행된 이번 연구결과는 국제 학술지 `어드밴스드 펑셔널 머터리얼즈 (Advanced Functional Materials)' 게재됐으며 후면 표지논문으로 선정됐다.
저작권자 © 충청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