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하는 표적을 보다 정확히 잘라낼 수 있는 크리스퍼(CRISPR-Cas12a) 유전자 가위가 국내연구진에 의해 개발됐다.
한국생명공학연구원은 2일 국가영장류센터 이승환 박사팀과 미래형동물자원센터 김선욱 박사팀이 경북대 이동석 교수팀과 함께 크리스터 유전자 가위가 표적을 선택적으로 인식하는 성질을 극대화 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했다고 밝혔다.
크리스터 유전자 가위는 CRISPR-Cas12a 유전자 가위는 CRISPR-Cas9 과는 다른 종류의 염기서열을 인식해 CRISPR-Cas9 유전자 가위와 상보적으로 사용되고 있으나 특정 유전자를 의도치 않게 절단하는 문제가 있었다.
이에 연구진은 특정 염기서열 말단을 DNA로 치환시킨 CRISPR-Cas12a 유전자 가위 사용 시, 다양한 유전자 타겟에서 표적 특이성이 크게 증가함을 확인했다.
이승환 박사는 “동 연구성과는 유전자 가위의 표적 특이성이 CRISPR 유전자 가위 구성물의 특정 염기서열의 말단을 DNA로 치환하는 방법을 통해 혁신적으로 증가될 수 있다는 사실을 밝힌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가이드 RNA를 근간으로 작동하는 다양한 유전자 가위 시스템에 적용될 수 있고, 효율적 암 치료제뿐만 아니라 다양한 유전 질환, 희귀성 난치 질환 등의 유전자 치료제 개발에 있어서 안전성 향상 면에서 큰 기여를 할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한편 이번 연구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한국연구재단이 추진하는 신진연구자지원사업과 국가과학기술연구회가 진행하는 BIG(Big Issue Group) 사업 지원으로 수행됐으며 생물학 분야의 세계적 저널인 ‘핵산 연구(Nucleic Acids Research, IF 11.501)’에 게재됐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