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생명공학연구원이 포스트 코로나 시대 바이오 분야 출연기관 협력 강화에 나섰다.
생명연은 6일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한국식품연구원, 한국원자력의학원,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 한국한의학연구원, 한국화학연구원, 안전성평가연구소 등 바이오분야 출연기관과 ‘바이오 분야 출연기관 역할 강화 및 R&D협력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이번 협약은 참여기관 간 상호 협력을 바탕으로 바이오 분야 4차 산업혁명과 포스트코로나 시대를 대비해 국가출연기관의 바이오 분야 역할과 협력 체계를 강화하기 위한 목적으로 추진됐다.
협약을 통해 9개 협약기관은 ▲포스트코로나 시대 국가출연기관 역할 확대를 위한 협력 활성화 ▲4차 산업혁명 시대의 바이오분야 선도를 위한 협력 사업 발굴 및 지원 ▲출연기관 간 협력 활성화를 위한 세부 추진방안 논의 등이 있을 예정이다
특히 이번 MOU 체결 기관들은 국가 출연기관의 역할 확대를 위해 국가 아젠다(감염병 등) 해결 등 국민사회 문제 해결을 위한 협력 방안도 적극 논의될 예정이다.
특히 최근 코로나19 대응을 통해 나타난 국민들의 국가출연기관에 대한 높은 요구수준을 충족하기 위한 출연기관간 전략적 협력 방안이 논의될 예정이다.
또 바이오 분야의 4차 산업혁명 대응을 위해 개방형 혁신을 통한 바이오 및 의학, 공학, 데이터기술 융합형 협력 사업을 중점 발굴할 예정으로 향후 대형성과 창출을 위해 기관간 협력을 지속 강화할 계획이다.
생명연 김장성 원장은 “포스트 코로나시대에서는 정부 출연기관간의 R&D 연구협력을 통해 향후 발생할 감염병문제 등 국가 아젠다 해결을 위해서 국가 출연기관의 역할 확대 및 협력이 필요한 시기”라며 “이번 MOU 체결을 통해서 국가출연기관으로서 바이오분야 현안 해결에 기여하며 미래 바이오 시대를 대비하여 더욱 긴밀하게 협력하길 기대한다”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