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충청권 4개 시·도가 경부고속철도와 서해선 연결 사업 추진을 위한 공동대응에 나선다.
경부고속철도와 서해선 연결사업이 제4차 국가철도망 계획에 반영돼 추진되면, 충청권 메가시티 구축도 한층 탄력을 받게 될 전망이다.
대전·세종·충남·충북 등 충청권 4개 시·도지사는 15일 제30회 충청권 행정협의회를 세종시 싱싱문화관에서 개최했다.
허태정 대전시장, 이춘희 세종시장, 양승조 충남지사, 이시종 충북지사 등은 공통안건으로 ‘경부고속철도와 서해안 연결사업’을 상정해 논의하고 충청권 공동 건의문을 채택했다.
이들은 건의문에서 “2015년 서해선이 착공되면서 충청지역 주민들은 충남 홍성과 서울 여의도 구간을 57분만에 운행하게 되는 새로운 철도축 탄생을 기대하고 있었다”며, 서해안 구축사업이 당초 계획과 달리 추진돼 나타난 상실감을 표했다.
이어 4개 시·도지사는 “서해선에서 신안산선으로 환승해 서울에 접근할 경우 당초 정부 발표보다 약 40분 정도 늦어지고 환승에 따른 편의성 저하로 사회적 손실비용이 연간 323억 원에 이르는 것으로 추산되고 잇다”고 했다.
그러면서 “서해선 서울 직결은 충남혁신도시 완성화 환황해권 지역 균형발전을 위해 반드시 필요하다”며, 경부고속철도와 서해선 연결사업의 ‘제4차 국가철도망 계획’ 반영을 건의했다.
충남도가 제안한‘경부고속철도(KTX)와 서해선 연결 사업'이 추진될 경우, 홍성~서울까지 45분만에 갈 수 있어, 충청권의 수도권 접근성을 개선하고 지역균형발전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이와 함께 4개 시·도지사는 ▲4차산업기반 소재부품산업 클러스터 구축 ▲금강하구 생태복원 추진 ▲탈석탄(탄소중립) 금고 동참' 등 3건의 협의안건에 대해서도 논의했다.
허태정 시장은 “‘경부고속철도(KTX)와 서해선 연결’로 황해권이 충청권 메가시티의 큰 축을 담당하게 될 것”이라고 언급했으며, “충청권 메가시티 연구용역이 ‘행정수도 완성’, ‘광역교통망 구축’ 등 충청권의 강점 산업을 조화롭게 담아 충청권의 백년대계를 그리길 기대한다”고 말했다.
한편 4개 시·도지사는 안건 협의 후, 충청권 메가시티 연구용역에 대한 추진현황 보고를 받았다.
앞서 충청권 4개 시도는 작년 11월 충청권 광역생활경제권(메가시티) 추진에 합의했고, 지난주 11일 충청권 광역생활경제권 전략수립을 위한 연구용역을 계약 체결했다.
연구용역은 이번 달 19일부터 착수하며, 대전세종연구원이 용역을 주관하고 충북ㆍ충남연구원이 공동 참여하고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