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시, 전국 최초 스마트공장 공급기업 육성
대전시, 전국 최초 스마트공장 공급기업 육성
  • 성희제 기자
  • 승인 2021.04.01 09:57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융합생태계 조성, 기업 경쟁력 강화 등 본격 추진
디지털 뉴딜 핵심 사업... 관련 산업 활성화 기대

대전시가 전국 지자체 최초로 디지털 뉴딜의 핵심인 스마트공장 공급기업 육성에 나선다. 지역의 스마트공장 고도화 기반이 마련돼, 산업 전반에 혁신을 가져올지 주목된다.

시의 스마트공장 공급기업 육성은 관련 기업의 시장 진입장벽을 낮추기 위해 추진된다.

대전시청사 전경
대전시청사 전경

대전은 스마트공장 공급기업이 80여 개 상주해 있으며, 계측제어, 데이터분석 및 모니터링 등 기술력 있는 ICT 관련기업이 다수 포함돼 있다.

하지만 제조기업이 스마트공장을 도입하려는 수요의 예측이 어렵고, 높은 진입장벽 등으로 인한 시장의 어려움과 높은 수준의 기술개발을 위한 자금부족, 시제품 개발 등의 애로가 있는 것으로 파악됐다.

대전시의 이번 스마트공장 공급기업 육성방향은 ▲스마트공장 추진을 위한 융합생태계 조성 ▲공급기업 경쟁력 강화 ▲스마트공장 사업화 확대 네트워크 구축 등 세 가지 축으로 진행된다.

스마트공장 추진을 위한 융합생태계 조성을 위해 대덕특구 스마트공장 혁신기술 위원회를 신설하고, 대덕특구와 연계한 스마트공장 R&D사업화 협력 지원방안을 마련할 계획이다.

공급기업 경쟁력 강화를 위해 R&D 과제기획, 맞춤형 IP, 시제품 제작, 마케팅 등 지원사업도 추진한다.

이와 함께 도입-공급기업간 상생협력 기회 마련을 위해 다양한 소통채널을 확보하는 등 사업화 확대 네트워크 구축을 진행할 예정이다.

시 관계자는“스마트공장 구축을 지원하며 도입-공급기업간 요구수준의 차이가 발생하고, 대전의 공급기업이 더 많은 참여를 하지 못함에 대한 아쉬움이 있었다”며“이번 지원책이 잘 활용되어 관내 공급기업의 경쟁력 강화와 함께 스마트공장 고도화 기반이 되길 바라며, 대전 스마트 제조혁신을 위해 더욱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정부는 중소제조업의 디지털 대전환을 목표로 2022년부터 5년간 총사업비 4,341억원 규모의 ‘스마트 제조혁신 기술개발사업’ 등을 통해 공급기술 고도화를 추진하고 있어 공급기업 육성의 시너지 강화가 기대된다.

기사가 마음에 드셨나요?

충청뉴스 좋은 기사 후원하기


※ 소중한 후원금은 더 좋은 기사를 만드는데 쓰겠습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