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AIST, 국제 해커톤 ‘핵카이스트’ 성료
KAIST, 국제 해커톤 ‘핵카이스트’ 성료
  • 이성현 기자
  • 승인 2022.06.30 13: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해커톤에 관해 소개를 하는 KAIST 산업디자인학과 이창희 교수
해커톤에 관해 소개를 하는 KAIST 산업디자인학과 이창희 교수

[충청뉴스 이성현 기자] 한국과학기술원(KAIST)이 영국 임페리얼 칼리지 런던과 진행한 국제 해커톤 ‘핵카이스트’가 성료됐다.

해커톤이란 해킹(hacking)과 마라톤(marathon)의 합성어로 기획자, 개발자, 디자이너 등의 직군이 팀을 이뤄 제한 시간 내 주제에 맞는 실험적 시스템, 제품 내지는 서비스를 개발하는 공모전이다.

두 학과는 코로나로 인해 단절된 국제 교류를 이색 온·오프 해커톤을 통해 재개했다.

양교의 교수진은 서로 다른 문화권에서 공부한 학생들의 교류와 협업이 혁신 교육의 일환이 될 수 있다고 판단해 공동 해커톤을 개최했다고 밝혔다.

양교 학생들의 상호교류와 해커톤은 지난 20일부터 5일간 KAIST 산업디자인학과 코아스 홀에서 그리고 영국의 임페리얼 공과대학교 에이스 워크숍(Ace Workshop)에서 동시에 진행됐다.

양교에서 선발된 학생 총 50명은 2인 1조로(양교에서 각 1명) 팀을 이뤄 나사(NASA), KAIST, 임페리얼 칼리지에서 주는 이색 미션들을 수행했다.

미션 수행에 앞서 학생들은 나사 제트추진연구소(NASA JPL)의 티보 발린트(Tibor Balint) 박사, 임페리얼 칼리지의 트리샨사 나나야카라(Thrishantha Nanayakkara) 교수, KAIST 산업디자인학과의 이창희 교수의 강연을 들었다.

해커톤 미션에는 심우주 탐사 시 우주인의 흥미와 안정을 돕는 실험적 기기나 제품을 고안할 수 있는 가능성에서부터 공감각을 이용한 신개념 정보 표현 인터페이스 고안까지 다양한 화두를 들여다보았다.

KAIST 산업디자인학과는 이번 해커톤의 성료를 바탕으로 매년 국외의 대학 혹은 기관들과 해커톤을 개최하는 것은 물론 신입생 대상으로도 프로그램을 확장 추진할 예정이다.

이우훈 산업디자인학과 학과장은 “KAIST가 초일류 대학으로 한 걸음 더 나아가기 위해서는 학생들의 국제적 협업 능력과 학제적 창의 능력이 중요한데 이번 행사가 그런 역량들을 키우는 좋은 계기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이번 핵카이스트 해커톤의 최종 우승자는 임페리얼 공과대학교 다이슨 디자인 엔지니어링 스쿨의 펠릭스 이브 바르취(Felix Yves Bartsch) 석사과정과 KAIST 산업디자인학과의 박혜수 학사과정이 차지했다.

입상자는 KAIST 산업디자인학과의 김희진(학사과정), 핌피슛 챤패니치(Pimpisut Chanpanich)(학사과정), 정진(학사과정), 윤서진(학사과정), 전종익(학사과정) 그리고 임페리얼 공과대학교 다이슨 디자인 엔지니어링 스쿨의 펠릭스 위버밋(Felix Wieberneit)(학사과정)이, 가작에는 ▲연세대학교 기계공학과의 류정민(학사과정)과 KAIST 산업및시스템공학과의 아딜 하산 칸(Adil Hassan Khan)(학사과정)이 선정됐다.

기사가 마음에 드셨나요?

충청뉴스 좋은 기사 후원하기


※ 소중한 후원금은 더 좋은 기사를 만드는데 쓰겠습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