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청뉴스 이성현 기자] 안전성평가연구소(KIT)는 미세플라스틱 중 섬유형태의 Polyethylene Telephthalate(PET)가 해양 수산물 생식기능과 신경계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했다고 25일 밝혔다.
PET는 흔히 알고 있는 페트병을 만드는 재질이다. 페트병 이외에 화학섬유인 폴리에스테르의 원료로써 옷이나 섬유에 더 많이 사용되고 있다.
해양환경 중 생물체에 있어 미세플라스틱은 체내 축적으로 인한 장내 염증 및 섭식작용 방해로 영양 불균형과 같은 물리적인 위험 뿐 아니라, PET에 포함된 첨가제 중 프탈레이트, 비스페놀A 등은 대표적인 내분비계 교란물질(환경호르몬)로 다양한 독성을 유발하기도 한다.
환경독성영향연구센터 연구팀은 최근 해양생태계에서 빈번하게 발견되는 섬유(fiber) 형태의 PET 플라스틱을 이용해 100um의 크기로 미세플라스틱을 제조했으며 지중해담치(Mytilus galloprovincialis)에 환경 농도인 0.0005mg/L을 비롯해 0.1, 1, 10, 100mg/L의 농도로 32일 동안 노출 시킨 뒤 나타나는 독성영향을 연구했다.
연구 결과 지중채담치의 여성호르몬 에스트라디올(E2)과 남성호르몬 테스토스테론(T) 수치가 감소했으며 이는 생식소 발달단계 지연 및 생식소 지수의 감소로 이어져 지중해담치 번식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했다.
또 PET 미세섬유의 만성노출로 지중해담치의 혈구에서 세포 면역 매개변수인 세포 사멸 및 DNA 손상이 관찰됐으며, 지중해담치의 소화기관과 아가미 조직에서 항산화 효소 및 신경독성 관련 효소의 활성이 증가해 산화 스트레스, 염증 등 손상된 세포 및 조직에서 신경학적 영향이 유발될 수 있음도 확인했다.
이번 연구는 해양환경에서 빈번하게 나타나는 섬유형 PET 미세플라스틱을 환경 관련 농도를 적용해 사람이 즐겨 먹는 수산물 중 하나인 지중해담치에 장기간 노출함으로써, 실제 해양환경 및 생물체의 영양 단계의 전이로 인한 미세플라스틱의 잠재적 위험성을 인지할 수 있는 연구라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KIT 환경독성영향센터 박준우 센터장은 “인간이 섭취하는 해양수산물(담치)을 대상으로 수행하여 미세플라스틱 인체 노출 연구의 중요한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미세플라스틱이 해양 양식을 하는 담치에 미치는 생식 및 발달영향을 평가함으로써 기타 수산물의 해양양식업 관리, 보호에도 참고할 수 있는 중요한 연구자료가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연구팀은 사람이 섭취하는 해산물의 미세플라스틱 노출과 그에 따른 독성영향이 해양생태계 뿐 아니라 인체에 유해할 수 있어 노출 경로에 대한 다양한 연구를 지속적으로 수행해 나갈 예정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