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의학연, 계지복령환의 통증 개선 효능 과학적 입증
한의학연, 계지복령환의 통증 개선 효능 과학적 입증
  • 이성현 기자
  • 승인 2022.08.31 10:52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한국한의학연구원 정지연 박사 연구팀
한국한의학연구원 정지연 박사 연구팀

[충청뉴스 이성현 기자] 한국한의학연구원은 한의과학연구부 정지연 박사 연구팀이 대사체 분석 방법을 통해 대표적 어혈 치료제인 계지복령환의 어깨 통증 및 혈중지질 개선 작용기전을 과학적으로 확인했다고 31일 밝혔다.

‘계지복령환’은 계지·복령·목단피·도인·작약으로 구성된 처방으로 주로 갱년기장애, 월경이상, 타박상 등 어혈(瘀血) 제거에 사용되는 한약 처방 중 하나로 임상에서 사용 빈도가 높다.

소염 진통효과를 가지는 한약 작용기전의 핵심에는 염증 및 면역 조절이 있는데 특히 계지복령환은 어깨통증과 같은 근골격계 염증성 통증 질환에 효과가 있어 임상에서 자주 쓰이고 있으나 이에 대한 치료 기전은 아직 밝혀지지 않은 상태였다.

이에 연구팀은 계지복령환의 어깨 통증 및 혈중지질 개선 효능을 규명하기 위해 다기관, 무작위배정, 대기명부 대조군 임상시험을 수행했다.

임상시험 결과 치료 8주 후 치료군 및 대조군에서 치료 전 어깨 통증(VAS) 점수가 유의미하게 감소했다. 특히, 치료군에서 대조군 대비 약 1.6배의 감소를 확인할 수 있었다.

결과적으로 연구팀은 계지복령환이 만성통증 및 신경 염증과 관련 있는 아르기닌(arginine), 트립토판(tryptophan) 등의 대사 패턴을 조절하여 어깨 통증을 개선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고, 혈중지질 수치 개선도 함께 확인할 수 있었다.

연구팀은 식품의약품안전처로부터 품목허가용 임상시험계획(IND)을 승인을 받아 이상지질혈증 치료에 대한 계지복령환의 효능과 안전성 연구도 진행 중이다.

제1저자 한의과학연구부 고미미 박사는 “지속적인 후속 연구를 통한 한약 효능의 과학적 규명으로 국민 건강에 기여하겠다”고 말했다.

기사가 마음에 드셨나요?

충청뉴스 좋은 기사 후원하기


※ 소중한 후원금은 더 좋은 기사를 만드는데 쓰겠습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