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청뉴스 이성현 기자] 한국화학연구원이 ㈜KCC와 차세대 모빌리티용 기능성 코팅소재 기술 관련 업무협약을 체결했다고 6일 밝혔다.
화학연은 이번 협약을 통해 연구팀이 개발해 글로벌 홍보에도 성공한 ‘햇빛으로 자가치유가 가능한 투명 코팅 소재 기술’을 활용해 차세대 모빌리티용 기능성 코팅소재 기술 개발 및 상용화를 공동으로 추진한다.
앞서 화학연 김진철 박사 연구팀은 기존 보호용 코팅 소재와 내구성 등의 성능이 동일하면서도 햇빛만으로 표면 흠집이 자가치유되는 투명한 코팅 소재를 개발했다.
개발된 소재로 코팅된 자동차 표면의 흠집을 한낮 햇빛에 30분 이상 노출시키면, 자가치유 과정을 통해 그 흠집이 스스로 사라질 수 있다.
개발된 소재에 햇빛이 흡수되면 빛 에너지가 열 에너지로 바뀌면서 표면 온도가 올라가고, 온도가 올라가면 고분자들이 원래의 그물망 구조에서 해체돼 떨어졌다 붙었다를 반복하며 자가치유되는 원리다.
연구팀이 개발한 자기치유 코팅 소재는 향후 자동차 등 수송기기 및 건축재료의 코팅 소재로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이번 업무협약 체결을 통해 향후 화학연과 ㈜KCC에서는 그동안 연구실 스케일에서 주목받아왔던 자가치유 코팅 소재뿐만 아니라 자가세정, 저에너지 경화 등의 기능성 코팅소재에 모빌리티 도장 공정을 적용해 상용화할 수 있는 솔루션을 개발할 예정이다.
이를 통해 친환경 및 자율주행 모빌리티 구현에 핵심인 기능성 모빌리티 코팅 소재의 글로벌 경쟁력을 확보하고 ‘소재–부품–완성차’에 이르는 국내 공급망 구축에 큰 기여를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이미혜 원장은 “화학연에서 지난 10년간 축적해 온 기능성 코팅소재 원천 기술과 ㈜KCC의 코팅 소재 양산 기술을 접목해 모빌리티 코팅소재 분야에서 큰 시너지 효과를 낼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