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IT, 간독성 예측 프로그램 ‘ToxSTAR’ 웹사이트 오픈
KIT, 간독성 예측 프로그램 ‘ToxSTAR’ 웹사이트 오픈
  • 이성현 기자
  • 승인 2022.09.07 14:27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ToxSTAR 웹페이지 화면
ToxSTAR 웹페이지 화면

[충청뉴스 이성현 기자] 안전성평가연구소(KIT)가 누구나 쉽게 약물의 간독성 예측 정보를 확인할 수 있는 웹 프로그램 ‘ToxSTAR’를 개발했다고 7일 밝혔다.

앞서 ToxSTAR의 초기 웹버전은 2019년에 개발돼 2020년 시범 운영됐다. 현재는 데이터 확보 확대와 기술 고도화를 통해 웹페이지를 공식 개설함으로써 독성 예측 서비스를 무료로 제공하고 있다.

약인성 간손상(DILI)은 신약 개발 과정 중 화학물질이나 그 물질의 대사체가 간독성을 일으키는 현상으로 빈번히 발생하게 되는 간손상 세부질환으로 ▲쓸개즙정체(cholestasis) ▲간경변증(Cirrhosis) ▲간염(Hepatitis) ▲지방간(Steatosis) 등이 있다.

이러한 간독성은 신약 개발을 저해하는 주요 요인으로, 약인성 간손상 유발 물질을 초기 단계에서 제외한다면 신약 개발의 시간과 비용을 절감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안전성을 우선적으로 확보할 수 있다.

ToxSTAR는 약물 대사체에 따른 간손상을 예측하는 최초의 모델로, 데이터베이스에 300개의 약물 구조와 함께 동물 대체 시험법을 활용한 간독성 평가 데이터가 저장돼 있다.

해당 사이트에서 화합물 구조 표현 중 하나인 스마일즈(Smiles) 코드를 입력하거나 구조를 직접 그려서 입력하게 되면 KIT에서 자체 개발한 예측 모델의 결과와 함께 구조 유사도가 높은 상위 5개의 약물에 대한 실험 결과를 확인할 수 있다.

ToxSTAR는 신약 개발 연구에 활용할 목적으로 개발됐으나 식품과학 분야 및 화학물질 작업 환경 안전성 연구에서도 독성 정보 확인에 많은 관심을 가지고 있어 약물 이외에도 간독성 예측 정보가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예측독성연구본부 박한진 본부장은 “빅데이터 기반의 독성 예측 정보는 다양한 분야에서 폭넓게 활용될 수 있으며, 누구나 쉽게 독성 예측 정보를 활용함으로써 독성·안전성 연구의 공공성, 개방성의 가치가 더욱 확대될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기사가 마음에 드셨나요?

충청뉴스 좋은 기사 후원하기


※ 소중한 후원금은 더 좋은 기사를 만드는데 쓰겠습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