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명연, 폐암 항암제 내성 치료 실마리 발견
생명연, 폐암 항암제 내성 치료 실마리 발견
  • 이성현 기자
  • 승인 2022.09.15 13:1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생명연 연구팀. 왼쪽 3번째 연구책임자 김미랑 박사, 5번째 제1저자 허해정 박사과정생.
생명연 김미랑 박사 연구팀. 왼쪽 3번째 연구책임자 김미랑 박사, 5번째 제1저자 허해정 박사과정생.

[충청뉴스 이성현 기자] 국내 연구진이 폐암 환자의 항암제 내성 원인을 밝히고 새로운 치료 타겟을 발견했다.

한국생명공학연구원은 김미랑·김선영 박사 연구팀이 단일세포 유전체분석 기술을 이용해 ALK 양성 비소세포폐암 환자의 항암제 내성 기전을 규명하고 제어할 수 있는 실마리를 찾았다고 15일 밝혔다.

전체 암 사망자의 22.7% 달하며 사망률이 가장 높은 암종인 폐암은 암세포의 크기와 형태에 따라 소세포폐암과 비소세포폐암으로 구분된다.

현미경으로 확인되는 암세포의 크기가 작은 것은 소세포폐암이라고 하고 작지 않은 것을 비소세포폐암이라고 한다. 전체 폐암 환자의 80~85%가 이 비소세포폐암에 해당한다.

비소세포폐암 중 약 5% 정도에서 ALK 유전자의 변이로 인한 ALK 양성 비소세포폐암이 발병하며, 주로 50대 이하의 젊은 연령대나 비흡연 폐암환자에게서 발견된다.

ALK 양성 비소세포폐암은 표적항암제를 투여하면 뛰어난 치료 효과를 보이지만 지속적인 투여 시, 항암제 내성이 생겨 재발과 이후 치료를 더욱 어렵게 한다.

항암제 내성 원인으로 2차 돌연변이가 주목받고 있지만 아직 그 기전을 모르는 부분이 절반 이상을 차지하고 있다.

최근 유전체 분석기술의 발달로 개별 세포의 유전자 발현 분석이 가능해지며 항암제 내성의 원인이 되는 희귀 암세포를 구별해 내는 연구가 가능해지고 있다.

이에 연구팀은 단일세포 유전체 기술을 통해 항암제 내성 세포의 유전자 발현 변화를 분석하여 내성 원인을 규명했다.

CDA(Cytidine deaminase, 시티딘 탈아미노효소)는 암세포의 증식과 이동성을 높여 전이를 유발하는 효소로, 표적항암제를 투여하면 암세포 내 CDA가 활성화되어 항암제를 회피하고 증식하며 항암제의 내성이 생긴다는 것이다.

이를 기반으로 연구팀은 CDA를 억제제를 이용하여 내성이 생긴 암세포만 선택적으로 사멸시킬 수 있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김미랑 박사는 “이번 연구 결과가 임상에 실제로 적용되기 위해서는 안전성 및 유효성 등 여러 검증 절차와 많은 연구가 필요하지만, 암 환자의 생존율을 높이는데 조금이라도 기여할 수 있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기사가 마음에 드셨나요?

충청뉴스 좋은 기사 후원하기


※ 소중한 후원금은 더 좋은 기사를 만드는데 쓰겠습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