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청뉴스 이성현 기자] 한국원자력연구원이 우라늄폐기물 처리기술 상용화에 나선다.
원자력연은 ‘우라늄폐기물 부피 감용 및 처분적합화 기술’을 엔이티㈜에 이전하는 기술 실시 계약을 체결했다고 21일 밝혔다.
기존에는 산 세척 등의 방법으로 방사성폐기물을 처리했다. 하지만 자체처분이 가능한 농도 이하로 처리하지 못하면 여전히 방사성폐기물로 분류되어 폐기물의 부피를 줄일 수 없었다.
이에 원자력연 해체기술연구부 이근영 박사 연구팀은 이런 문제점에 역발상으로 접근했다. 우라늄폐기물에서 우라늄이 아닌 비방사성 물질을 분리하는 방법으로 우라늄폐기물의 부피를 줄이는 기술을 개발한 것.
우라늄폐기물 고체를 용액으로 만들고 폐기물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비방사성 물질을 선택적으로 침전시켜 일반폐기물로 분리하면, 우라늄폐기물의 부피를 1/5로 줄일 수 있다.
또 우라늄폐기물 처리에 소결 기술을 접목해 우라늄이 다른 물질과 반응하지 않도록 안정적으로 만들고, 부피를 50% 더 감소시키는 기술을 함께 개발해 폐기물 처리 기술의 완성도를 높였다.
이근영 박사는 “방사성폐기물 내 오염핵종을 제거해야 한다는 편견에서 벗어나 오염핵종은 남기고 비방사성 물질을 쉽게 분리한다는 역발상의 결과”라며 “기술 이전을 통해 연구원이 개발한 신기술이 우리 사회의 방사성폐기물 문제를 해결하는 데 기여할 수 있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한편 이번 계약은 정액기술료 5억원과 감용되는 폐기물 드럼당(200L 기준) 150만 원을 경상기술료로 받는 조건이다.
엔이티㈜는 방사성폐기물 처리 및 처분 전문 기업으로 우라늄폐기물 처리 기술 상용화를 추진하고, 향후 원전 해체사업 등에 진출할 계획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