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청뉴스 이성현 기자] 한국원자력연구원은 연구원이 개발한 검·방역 일체형 보안검색 시스템 국산화에 박차를 가한다.
원자력연 첨단방사선연구소는 ㈜위드케이에이씨(WITHKAC)에 ‘방사선 처리 및 시뮬레이션 평가 기술’을 이전하고 상호협력협약을 체결했다고 24일 밝혔다.
주요 협력분야는 △보안검색기 및 검방역 기술 공동연구 △연구시설 및 장비 공동 활용 △학술, 기술 및 정보교류 △인력교류 등이다.
방사선반응모델연구실 권희정 박사팀이 개발한 ‘수하물의 방역·보안검색을 위한 방사선 처리 및 시뮬레이션 평가 기술’은 국내 특허 5건과 노하우 기술 1건으로 이뤄져 있다. 물질별로 적절한 방사선량을 사전에 파악하는 ‘시뮬레이션 평가’와 방사선을 조사해 살균하는 ‘방사선 처리’ 과정이 핵심이다.
이 기술은 ‘시뮬레이션 평가’로 방역 대상이 손상되지 않을 최대 방사선량을 정확히 계산한다. 검출센서에서 세균·바이러스가 감지되면 이들 분자구조의 결합을 끊을 수 있는 수준의 X-선을 쪼여 살균한다. 5eV(전자볼트, 현 UV 살균 에너지)에서 100KeV(킬로전자볼트)까지 조절 가능하다.
이를 활용해 연구진은 방사선 조사에도 내구성을 유지하는 ‘플라스틱 방사선 변형에너지 보존 소재’를 설계했다. 공항 수하물을 담는 플라스틱 컨테이너가 X-선을 여러 차례 통과하더라도 손상되는 것을 막기 위함이다.
기존의 PE, PS, PVC 등 10여 종의 범용 플라스틱은 일정 수준 이상의 X-선에서는 부서진다는 한계가 있다. 연구진은 이들에 대한 시뮬레이션을 실시, 각각의 성능을 조합해 최적의 플라스틱 소재를 고안한 상태다.
원자력연은 보안검색과 살균을 한 기기에서 수행하는 ‘검방역 일체형 보안검색 시스템’을 3~4년 이내로 국산화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첨단방사선연구소 이남호 소장은 “이번 기술은 일반 수하물뿐 아니라 향후 동·식물, 사람에게도 적용할 수 있다”며 “연구원은 앞으로도 기업체와 협력해 국민 실생활에 유용한 방사선 기술을 개발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이번 계약으로 원자력연은 정액기술료 5000만 원과 매출액 2%를 경상기술료로 받는다. ㈜위드케이에이씨는 한국공항공사 벤처기업으로 출범해, 인체에 무해한 플라스마 UV 방역 및 IP 기반 스마트 헬스케어 제품을 개발하는 살균시스템 전문 기업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