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IT, 내년도 주요사업 소개...Annual Conference 2022 개최
KIT, 내년도 주요사업 소개...Annual Conference 2022 개최
  • 이성현 기자
  • 승인 2022.11.03 09:32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안전성평가연구소 정은주 소장

[충청뉴스 이성현 기자] 안전성평가연구소(KIT)가 올해 우수 연구자 및 신진 연구자들의 연구 성과를 소개하고 2023년 신규 주요사업을 발표하는 ‘KIT Annual Conference 2022 : The new beginnings of KIT’를 개최했다고 밝혔다.

이번 컨퍼런스의 KIT 연구성과 세션에서는 ▲간독성 예측 및 대체독성평가 시스템 개발(오정화박사, 예측독성연구본부) ▲세신(Asiasari radix)의 장기 독성에 대한 기전 연구(장민성 박사, 장기독성연구그룹) ▲재생의학적 응용을 위한 생체재료기반 세포 고밀집 인공조직체 형성(이유빈 박사, 바이오의약연구그룹) ▲감염병 대응 바이오의약품의 개발(최명진 박사, 바이오의약연구그룹) ▲형질전환돼지를 활용한 원숭이 이종장기이식의 비임상 연구 보고서(이주영 박사, 동물모델연구그룹) ▲위암에서 Pectolinarigenin의 PI3K/AKT/mTOR 경로 및 활성산소 조절 연구(이호정 박사, 경남바이오헬스연구지원센터)를 주제로 발표가 진행됐다.

또 ‘International Symposium on the Oligonucleotide-based Therapeutics’ 세션에서는 최근 주목받고 있는 중추신경계 분야의 핵산 의약품 개발 관련 ▲FUS 변이 근위축성 측삭 경화증(FUS-ALS) 치료를 위한 Antisense 저해제의 개발: 연구자 주도에서 희귀 질환 IND까지의 진화(Scott Henry, Ionis Vice President) ▲중추신경계로 Antisense Oligonucleotides 전달하는 법(Curt Mazur, Ionis Technical Director) ▲신경계 질환에서 RNA 치료제 타겟으로서의 뇌 체세포 돌연변이(이정호, Sovargen CTO) ▲RNA 치료제를 위한 혈액-뇌 장벽(BBB) 극복(류진협, Biorchestra, CEO) 등 연사들의 발표가 진행됐다.

이밖에 KIT 소속 UST 등의 연구생 포스터 전시를 비롯해 2022년 기획과제 총 8개에 대해 각 연구책임자의 연구 수행 결과 발표와 2023년 신규 주요사업 소개를 통해 향후 안전성·독성 연구 방향을 제시하고 함께 토론하는 시간을 가졌다.

정은주 소장은 “이번 컨퍼런스를 계기로 더 많은 연구 성과를 개방하고 공유함으로써 다양한 융·복합 연구는 물론 차세대 독성 연구를 선도해 나갈 수 있을 것”이라며 “특히 연구자들이 함께 모여 소통하고 협력하는 교류의 장이 될 수 있길 바란다”고 밝혔다.

기사가 마음에 드셨나요?

충청뉴스 좋은 기사 후원하기


※ 소중한 후원금은 더 좋은 기사를 만드는데 쓰겠습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