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이러스 대항하는 박테리아 새로운 생존 전략 규명
바이러스 대항하는 박테리아 새로운 생존 전략 규명
  • 이성현 기자
  • 승인 2022.11.06 20:1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Aca 단백질의 3차 구조 및 전자조절인자로서의 기능 규명
Aca 단백질의 3차 구조 및 전자조절인자로서의 기능 규명

[충청뉴스 이성현 기자] 국내 연구진이 바이러스에 대항하는 박테리아의 새로운 생존 전략을 규명했다.

한국연구재단은 중앙대 박현호 교수 연구팀이 박테리아가 자신의 면역체계인 크리스퍼-카스(CRISPR-Cas)를 공격하는 바이러스의 항-크리스퍼(Anti-CRISPR) 유전자를 조절하고 면역시스템을 회복하는 새로운 메커니즘을 규명했다고 6일 밝혔다.

흔히 유전자 가위로 불리는 크리스퍼-카스는 박테리아가 자신을 공격하는 바이러스의 유전정보를 기억하고 있다가 유사 유전자를 가진 바이러스가 침투할 경우 바로 제거하는 방어 시스템이다.

바이러스는 크리스퍼-카스를 억제하는 다양한 항-크리스퍼 단백질을 가지고 박테리아의 면역체계를 무력화 시키며 진화했다.

박테리아 역시 바이러스의 항-크리스퍼 단백질을 무력화하는 방어 체계를 갖추고 있을 것으로 추정됐지만, 지금까지 관련 기전은 알려지지 않았다.

연구팀은 바이러스의 항-크리스퍼 유전자와 밀접한 관계를 보이는 박테리아의 Aca (anti-CRISPR associate) 단백질에 주목하여 항-크리스퍼 단백질과의 상호작용을 연구한 결과 Aca 단백질은 항-크리스퍼 단백질의 발현을 저해하는 전사인자로 작용함을 밝혔다.

또 Aca 단백질은 항-크리스퍼 유전자의 특정 프로모터에 결합하는 방식으로 항-크리스퍼의 발현을 막아, 크리스퍼-카스를 정상 작동시키는 것을 확인했다.

나아가 Aca 단백질의 3차원 구조를 규명하고, 어떻게 이 단백질이 특정 프로모터에 결합하여 바이러스의 무기가 되는 단백질 유전자 발현을 저해할 수 있는지를 분자 수준에서 규명했다.

박현호 교수는 “항-크리스퍼 단백질, Aca 단백질은 실제 크리스퍼-카스 시스템을 조절하는 단백질들이기 때문에 인간 유전자 치료 기술로 주목받는 크리스퍼-카스의 정교한 조절 등에 응용될 수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기사가 마음에 드셨나요?

충청뉴스 좋은 기사 후원하기


※ 소중한 후원금은 더 좋은 기사를 만드는데 쓰겠습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