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연구재단, 스스로 코팅되는 액체금속 기술 소개
한국연구재단, 스스로 코팅되는 액체금속 기술 소개
  • 이성현 기자
  • 승인 2022.11.09 12: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액체금속의 자발적인 젖음 현상
액체금속의 자발적인 젖음 현상

[충청뉴스 이성현 기자] 스스로 코팅되는 액체금속 기술이 소개됐다. 차세대 초신축 전극 활용 가능성에 실마리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한국연구재단은 서울과학기술대학교 구형준 교수 연구팀과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소주희 수석연구원이 웨어러블 전자소자의 전극물질로 사용되는 액체금속의 자발적이고 제어 가능한 코팅 기술을 개발했다고 9일 밝혔다.

액체처럼 흐르는 성질을 갖고 있는 액체금속은 전도성도 금속만큼 높기 때문에 최근 유연 전자소자 분야에서 활발히 연구되고 있는 물질이다.

대표적인 액체금속으로는 수은이 있지만 독성이 강해, 갈륨계 액체금속이 대체물질로 주목받아 왔다.

그러나 갈륨계 액체금속 역시, 액체 상태가 갖는 불안정성과 높은 표면장력으로 인해 대면적 코팅이나 패터닝을 위해서는 기계적 또는 전기화학적 힘과 같은 외부의 힘이 필요하다.

이에 연구팀은 갈륨계 액체금속이 다른 금속과 합금을 형성하기 쉽고, 액체가 미세구조를 따라 흡수되는 침염현상이 가능하다는 점에 착안해, 신속하고 재현성있는 액체금속의 코팅 및 패터닝 방법을 모색했다.

액체가 흡수될 수 있도록 수십 마이크로미터 크기의 미세한 원기둥이 배열된 기판을 제작해 그 위에 구리를 증착한 후, 액체금속 방울을 올려놓고 염산 증기에 노출시켰다.

그러자 액체금속이 외부의 힘없이도 자발적으로 미세 마이크로 구조를 따라 빠르게 퍼지며 평평한 코팅 막을 형성하는 것을 관찰할 수 있었다.

연구팀은 액체금속의 침염현상이 특정 조건에서 발현됨을 수학적으로 유도해 실험으로 뒷받침했으며, 이러한 수치 해석을 통해 금속 표면에서의 액체금속 젖음 현상에 적용 가능한 이론적 토대를 마련했다.

개발된 코팅 공정을 통해 제작된 액체금속 전극은 안정적인 전기전도도를 보이며 신축 전극으로써의 활용 가능함을 시사했고 또 액체금속 박막의 두께 및 퍼지는 패턴을 원하는 대로 제어할 수 있다는 점에서 액체금속이 보다 다양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연구팀 관계자는 “간단하면서도 재현성이 높아 다양한 분야에서 액체금속을 더 적극적으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며 “지속적인 연구를 통해 액체 금속 유동 제어와 관련한 선두 기술을 확보해 나갈 것”이라고 설명했다.

기사가 마음에 드셨나요?

충청뉴스 좋은 기사 후원하기


※ 소중한 후원금은 더 좋은 기사를 만드는데 쓰겠습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