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청뉴스 이성현 기자] 국내 연구진이 화학무기의 독성을 제거하는 신개념 코팅기술을 개발했다.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은 물질구조제어연구센터 백경열 책임연구원 연구팀이 지난 2019년 나노기반 제독촉매를 개발한 데 이어 가공과 코팅이 용이한 제독용 복합소재의 개발에 성공했다고 밝혔다.
연구팀은 기존에 개발했던 나노미터 수준의 지르코늄(Zr) 기반 제독촉매의 높은 반응성을 유지하면서 가공성을 향상시키는 기능성 고분자형 지지체를 신규로 개발해 이를 혼합한 복합소재를 제독촉매로 이용했다.
군복 및 군용장비의 스프레이 공정에 복합소재를 적용해 제독 코팅층을 형성하고, 실제 화학무기인 신경작용제 소만(GD)을 이용해 제독성능을 테스트한 결과 개발한 소재가 제독용 코팅소재로써 실증적용이 가능한 것으로 확인했다.
백경열 책임연구원은 “기존에 보고된 전기방사법이 아닌 단순 스프레이 공정을 통해서 넓은 면적까지 빠른 속도로 코팅이 가능하며 화학무기의 독성을 손쉽게 제거할 수 있다는 것이 이번 연구의 차별점”이라며 “스프레이 코팅을 통해 유사시 군복과 군용장비에 사전제독뿐만 아니라 오염된 부분의 사후제독도 가능해 보다 효과적으로 화학무기 또는 고독성 화학물질로부터 군인 및 국민의 생명과 안전을 지킬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설명했다.
저작권자 © 충청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