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명연, 단백질 합성 효소의 염증 완화 원리 규명
생명연, 단백질 합성 효소의 염증 완화 원리 규명
  • 이성현 기자
  • 승인 2022.11.14 12: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왼쪽부터 생명연 이은영 박사, 김명희 박사
왼쪽부터 생명연 이은영 박사, 김명희 박사

[충청뉴스 이성현 기자] 국내 연구진이 단백질 합성 효소가 인체 염증을 완화하는 역할까지 한다는 사실을 밝혀냈다.

한국생명공학연구원은 마이크로바이옴융합연구센터 김명희 박사 연구팀은 단백질 합성 효소 ‘EPRS1’이 염증 환경에서 과도한 면역 반응을 억제하며 면역력을 유지하게 하는 원리를 규명했다고 14일 밝혔다.

염증이란 생체 조직이 손상을 입거나 감염되었을 때 방어수단으로 일어나는 복합적 면역 반응이다.

그러나 이러한 염증이 해소되지 않고 만성 염증으로 이어지면 염증성 질환은 물론이고 심뇌혈관질환이나 암까지 유발하는 질병의 근원이 된다.

염증을 유발하는 인자들에 관해서는 연구가 활발히 진행됐으나 염증을 완화하고 없애주는 기전에 대한 연구는 부족한 상황이다.

인체의 필수 조직을 구성하고 대사를 조절하기 위해서는 단백질이 필수적이며, 일반적으로 음식으로 섭취하거나 체내에서 직접 만드는 과정을 통해 단백질을 보유하게 된다.

세포가 단백질을 만드는 합성과정에는 20개의 단백질 합성 효소가 관여하며, 이들 중 8개는 거대한 복합체를 이루며 세포질 내에 존재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연구팀은 이전 연구에서 이 8개의 효소 복합체 중 EPRS1이라는 단백질이 바이러스 감염을 막아 주는 기전이 있음을 밝혀낸 바 있다.

연구팀은 이번 연구에서 EPRS1 단백질이 병원성 세균 감염이나 염증성 장 질환 같은 인체의 염증 환경에서 특정 신호전달 체계를 조정해 염증을 완화하며 면역 항상성을 유지시켜줌을 규명했다.

EPRS1 단백질이 염증 환경에 노출되면 염증 억제 신호전달에 중요한 AKT 단백질을 활성화하고, 항염증 사이토카인 IL-10 단백질의 분비를 촉진한다는 것.

연구팀은 마우스 모델을 이용한 실험에서 EPRS1이 없는 생쥐의 경우, 패혈증과 염증성 장 질환에 걸리면 항염증 면역 기능이 저하돼 정상인 상태에 비해 생존율이 떨어지는 것을 확인했다.

김명희 박사는 “EPRS1의 염증 완화 기전은 모든 세포에 상시 대기 상태로 존재하는 효소 복합체가 단백질 합성 기능과 더불어 인체 면역환경을 조절하는 항상성 유지 매개체로도 기능한다는 사실을 확인한 것”이라며 “향후 효소 복합체의 구조 규명을 통해 이러한 기능의 원리를 밝혀 인체의 생명 현상과 질병 발생 이해에 이바지하겠다”고 설명했다.

기사가 마음에 드셨나요?

충청뉴스 좋은 기사 후원하기


※ 소중한 후원금은 더 좋은 기사를 만드는데 쓰겠습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