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AIST, 돼지 젤라틴 활용한 고성능 고체산화물 연료전지 개발
KAIST, 돼지 젤라틴 활용한 고성능 고체산화물 연료전지 개발
  • 이성현 기자
  • 승인 2022.12.08 13: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Advanced Functional Materials 저널 앞표지
Advanced Functional Materials 저널 앞표지

[충청뉴스 이성현 기자] 국내 연구진이 돼지 표피에서 추출한 젤라틴을 활용해 고성능 고체산화물 연료전지를 개발했다.

한국과학기술원(KAIST)은 기계공학과 이강택 교수 연구팀이 돼지 표피에서 추출한 젤라틴을 활용해 수백 나노 수준의 매우 얇은 고 치밀성 다중도핑 세라믹 박막 제조 기술을 적용한 고성능의 양방향 고체산화물 연료전지 개발에 성공했다고 8일 밝혔다.

양방향 고체산화물 연료전지(R-SOFC)는 하나의 연료전지 소자에서 수소 생산과 전력생산이 모두 가능한 시스템으로서 탄소중립 사회 실현을 위해 필수적인 에너지 변환장치다.

연구팀은 이번 연구에서 젤라틴을 활용해 매우 얇으면서도 치밀한 다중도핑의 세리아 나노박막 제조 공정기술을 개발해 양방향 고체산화물연료전지에 기능층으로 적용하는 데 성공했다.

전기화학 및 구조 분석을 통해 치밀한 기능층의 도입으로 산소이온의 이동경로가 크게 감소하며 전기화학적 활성영역이 크게 증가함을 확인했다. 또 개발된 양방향 연료전지는 기존 공정을 적용한 연료전지 대비 2배 이상 높은 성능을 보였으며 동일소재를 사용한 연료전지 중 가장 높은 성능을 나타냈으며, 수소 생산도 세계 최고성능을 발휘했다.

또 개발된 연료전지 소자는 1500시간 동안 열화 없이 구동돼 매우 높은 안정성을 갖고 있음을 실증했다.

이강택 교수는 "이번 연구에서 사용된 공정들은 대면적 양산시스템에도 쉽게 적용할 수 있는 기술들이기 때문에, 탄소중립 실현을 위한 고성능 양방향 연료전지 상용화에 본 기술을 적용할 수 있을 것ˮ이라고 설명했다.

한편 이번 연구는 국제 학술지인 `어드벤스드 펑셔널 머티리얼스'에 표지논문으로 선정됐다.

기사가 마음에 드셨나요?

충청뉴스 좋은 기사 후원하기


※ 소중한 후원금은 더 좋은 기사를 만드는데 쓰겠습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