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연구재단, 오염 농산물 미래 위험성 예측 기술 소개
한국연구재단, 오염 농산물 미래 위험성 예측 기술 소개
  • 이성현 기자
  • 승인 2023.02.13 16:34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작물생산환경 유해인자에 의한 먹이사슬 상 수명 위협인자 모식도

[충청뉴스 이성현 기자] 오염 농산물의 장기간 노출에 따른 환경과 인간의 건강에 대한 미래 위험성을 예측하는 원 헬스 기술이 소개됐다.

한국연구재단은 부산대 문유석 연구팀이 농산물의 장기적인 오염 유해인자 노출이 인간을 포함한 먹이사슬 생물계 수명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최초로 예측했다고 밝혔다.

농작물 생산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유해인자가 생태계 생물과 인간의 건강과 수명에 미치는 만성적인 영향은 현재까지 명확히 규명되지 못했다.

오염 유해인자들은 토양과 식수로 통해서 유출돼 생태계 먹이사슬에 영향을 주게 되고 이를 통해 가축과 인간의 건강을 위협하기 때문에 이에 대한 분석과 예측은 매우 중요하다.

연구진은 작물생산과정에서 흔하게 노출되는 곰팡이독소 등 유해인자들이 토양 생물계에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선충 및 궁극적으로 인간에게 어떤 영향을 미칠지를 예측했다.

일차적으로 작물 유해인자에 반응하는 인간 스트레스 유전자군의 변화를 노화 데이터를 기반으로 예측했고 이를 근거로 생애주기가 짧은 선충모델을 통해서 분석했다.

그 결과 농산물 유해인자들의 장기간 노출로 인해 토양 선충과 포유류의 노화 과정이 가속화되며 궁극적으로 수명을 단축시킬 수 있음을 규명했다.

유해인자들에 장기간 노출되면 노화 과정에서 나타나는 장내 균총의 변화를 비정상적인 형태로 유도했으며 이에 따라 염증 수치 증가하고 소화기 장벽 면역력 손상을 가속화했다.

문유석 교수는 “이번 연구는 농장에서 식탁으로 이어지는 작물생산의 먹이사슬 오염이 동·식물과 인간의 건강을 위협하는 장기적 과정을 예측한 데 의의가 있다”며 “연구성과는 향후 원 헬스 측면에서 식량 먹이사슬의 중요성을 살펴보고 환경·동물·인간의 건강을 하나로 고려하는 지속가능한 보건정책의 수립에 중요한 기초자료로 이용될 것으로 기대된다”고 설명했다.

기사가 마음에 드셨나요?

충청뉴스 좋은 기사 후원하기


※ 소중한 후원금은 더 좋은 기사를 만드는데 쓰겠습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