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폐공사 화폐박물관, 화폐 조각가 작품 전시회 개최
조폐공사 화폐박물관, 화폐 조각가 작품 전시회 개최
  • 최형순 기자
  • 승인 2023.02.22 10:55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서창호, 김복규 화폐 조각가 2인 소장품전 3월 12일까지 개최
조폐공사 기념주화 및 기념메달 조각가들 “제품이 아닌 작품을 만든다”는 자세로 조각

[충청뉴스 최형순 기자] 기념주화 및 기념메달을 조각하는 화폐 조각가들의 특별한 전시회가 개최돼 이목을 집중시키고 있다.

기념메달 및 석고 조각이 함께 전시되어 있다.
기념메달 및 석고 조각이 함께 전시되어 있다.

한국조폐공사는 화폐박물관 특별전시실에서 오는 3월 12일까지 ‘화폐조각가 2인 소장품전’을 개최한다고 22일 밝혔다.

한국조폐공사 기술연구원 디자인연구센터에 재직 중인 서창호·김복규 연구원은 이번 전시회를 통해 기념주화 및 메달을 연구하고 조각하는 과정에서 만들어진 20여 점의 부조 조각 작품을 전시한다. 국민들에게 조폐공사의 주화·메달 조각 방법을 알리고 특수압인제품의 특별한 매력을 느낄 수 있도록 이번 전시회를 기획했다고 설명했다.

서창호 연구원은 2002 FIFA 한일 월드컵 기념주화, 한국의 국립공원 시리즈 기념주화를 비롯해 조용필 기념메달, 박항서 기념메달 등을 조각한 바 있는 베테랑 조각가이며, 김복규 연구원은 큰 인기를 끌었던 김연아 기념메달, 손흥민 기념메달 등 20여 종류의 기념메달을 조각한 바 있다.

기념메달 및 기념주화 조각에 가장 중요한 기술력은 조각 작품의 두께를 최대한 얇게 만드는 것이다. 두께를 얇게 해야 작품성을 제대로 구현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압인과정에서 불량률을 줄일 수 있기 때문이다.

서창호 연구원은 “조각 이미지 구현을 위해 가족들까지 동원할 정도로 심혈을 기울이고 있다”고 말했다. 서 연구원은 실제 2018년 평창올림픽 기념주화 2차 쥐불놀이 금화 디자인을 위해 아들과 딸에게 쥐불놀이 동작을 수 백회 재현하면서 어렵게 디자인을 완성했다고 한다.

조각가들이 조각한 기념주화나 기념메달 중에는 이런저런 이유로 여의치 않아 구입하기는 어려운 경우가 있다고 한다.

김복규 연구원은 몇 년 전 삼성에서 비매품으로 창업주 이병철 회장 100주년 탄생 기념 은메달을 제작했는데 자신이 조각을 했다고 한다. 작품성이 너무 뛰어나 간직하고 싶었지만 비매품이라 구입할 수 없었는데 삼성 측에서 답례로 받은 사연을 소개했다.

김복규 연구원은 “제품이 아닌 작품을 창조한다는 마음으로 조각하고 있다”며 자신이 조각한 기념주화, 기념메달이 한국을 알리고 빛낸다는 사실에 자부심을 느낀다고 말했다.

이번 전시에서 서창호 작가는 ‘천지창조’, ‘비상’ 등 예술성에 중점한 작품을 전시하였고 김복규 작가의 ‘아름다운 인생’, ‘소나기’ 등은 일상의 아름다운 순간을 포착한 작품으로 결이 다른 두 작가를 비교하며 감상하는 것도 즐거운 포인트가 될 것이라고 화폐박물관 측은 설명했다.

기사가 마음에 드셨나요?

충청뉴스 좋은 기사 후원하기


※ 소중한 후원금은 더 좋은 기사를 만드는데 쓰겠습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