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AIST, 차세대소형위성 2호 관측영상 공개
KAIST, 차세대소형위성 2호 관측영상 공개
  • 이성현 기자
  • 승인 2023.09.05 10:01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KAIST 차세대소형위성 2호가 SAR 시험을 통해 촬영한 부산의 모습
KAIST 차세대소형위성 2호가 SAR 시험을 통해 촬영한 부산의 모습

[충청뉴스 이성현 기자] 한국과학기술원(KAIST)이 차세대소형위성 2호의 관측영상을 공개했다.

KAIST는 지난 5월 25일 나로우주센터에서 발사된 누리호 3차 주탑재 위성인 차세대소형위성 2호에 대한 초기 운영을 완수했다고 5일 밝혔다.

차세대소형위성 2호는 고도 550km 궤도에 안착했으며, KAIST는 지난 3개월 동안 차세대소형위성 2호에 대한 초기 운영을 통해 위성 본체, 탑재체, 지상국 전반에 걸친 기능 점검과 시스템 안정화 및 탑재체 시험 관측을 모두 수행했다.

초기 운영 기간 중 KAIST 인공위성연구소는 주 탑재체인 ‘영상레이다’(SAR)로 전 세계 여러 곳을 시험 촬영하는 데 성공했으며 초기 운영 종료 시점 대표적인 시험 관측 영상을 공개했다.

영상레이다는 전파를 지상으로 쏜 후 지상에서 산란되어 되돌아온 전파를 수신해 신호처리를 통해 영상을 얻기 때문에 주·야간 빛의 영향을 받지 않으며 구름 등 기상 상황과 관계없이 지상관측을 수행할 수 있다.

공개된 시험 관측 영상은 초기 운영 기간 중 영상레이다 탑재체 시험 운영 과정에서 촬영된 영상으로서 가시광선이 아닌 마이크로파(microwave)로 바라본 세상을 담고 있는 것이 특징이다.

또 초기 운영 기간 중 과학 탑재체 ‘레오도스 (LEO-DOS)’의 기능을 점검하고 정상적인 작동상태를 확인했으며 시험 운영을 통해 우주방사선 관측자료를 확보했다.

한국천문연구원이 개발한 근지구궤도 우주방사선 관측장비 ‘레오도스’(LEO-DOS)가 시험 운영기간 동안 획득한 전 지구 우주방사선 등가선량 지도를 공개했다.

아울러 KAIST 인공위성연구소는 초기 운영 기간 중 산·학·연에서 국산화한 핵심기술검증 탑재체 4종(GPS·Galileo 복합 항법 수신기,상변환 물질을 이용한 열 제어장치, X-대역 GaN기반 전력증폭기, 태양전지배열기)에 대한 시험 운영을 통해 모든 탑재체가 정상적으로 작동함도 확인했다.

KAIST 인공위성연구소는 차세대소형위성 2호 발사 후 3개월간의 초기 운영을 완수함에 따라, 이후 영상레이다 탑재체에 대한 기술 검증 임무와 과학 탑재체 및 핵심 기술 검증 탑재체에 대한 정상 임무에 돌입할 예정이다.

영상레이다 탑재체는 향후 8개월간 추가적인 기술 검증을 거친 후 정상 임무를 통해 본격적으로 활용될 예정이다. 추가 기술 검증 기간에는 영상레이다에 대한 기술 시험 운영과 검보정을 수행하게 된다. 기술검증을 최종 완료한 후 정상 임무를 통해 북극 해빙 변화 탐지, 산림변화 탐지 및 해양 환경오염 탐지 등에 활용될 영상레이다 관측 자료를 제공할 예정이다.

한재흥 소장은 “차세대소형위성 2호의 목표궤도 진입 후 정상적인 위성 관제와 임무 수행을 지속하고 있으며, 영상레이다 탑재체 시험 관측, 과학 탑재체 시험 관측, 핵심기술검증 탑재체 기능 점검을 모두 성공적으로 마쳤다”고 말했다.

이어 “차세대소형위성 2호는 위성 본체와 탑재체 대부분이 국내 독자 기술로 개발됐으며, 공개된 영상은 KAIST가 국내에서는 처음으로 국산화한 우주용 영상레이다를 이용해 촬영한 지구관측 사진이라는 점에서 큰 의미가 있다"며 "이번에 확보한 귀중한 기술자산과 운영경험이 향후 국산 영상레이다 기술 고도화에 활용되기를 바란다”고 했다.

기사가 마음에 드셨나요?

충청뉴스 좋은 기사 후원하기


※ 소중한 후원금은 더 좋은 기사를 만드는데 쓰겠습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