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해 청소부 ‘사르202’ 세균, 실험실 배양 성공
심해 청소부 ‘사르202’ 세균, 실험실 배양 성공
  • 이성현 기자
  • 승인 2023.09.05 12: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한국연구재단, 인하대 조장천 교수 연구팀 성과 발표
사르202 세균의 생장곡선과 주사전자현미경 사진
사르202 세균의 생장곡선과 주사전자현미경 사진

[충청뉴스 이성현 기자] 국내 연구진이 심해의 청소부라 불리는 '사르202' 세균의 실험실 배양에 성공했다.

한국연구재단은 인하대 조장천 교수 연구팀이 심해 미생물 군집의 최대 30%를 차지하는 사르202 세균의 실험실배양과 게놈 해독에 성공했다고 5일 밝혔다.

해수1 ml에는 약 백만 개의 미생물이 서식하며 탄소와 에너지의 순환을 매개함으로써 지구 기후를 조절한다. 1990년대부터 메타게놈 분석을 통해 해양 미생물의 다양성이 밝혀졌으나, 대다수 미생물은 실험실에서 배양이 되지 않아 실체 파악에 한계가 있었다.

연구팀은 서해 바닷물을 채취해 미생물을 키울 수 있는 배지를 만들고, 미생물 세포를 주입한 후 한 달 동안 빛을 주지 않고 배양했다.

그 결과 서해 시료에서 24개의 사르202 균주를 획득하고, 유전체 분석을 통해 전체 게놈 서열을 확보했다.

연구팀은 사르202 세균이 실험실에서 약 3일에 한 번 분열해 매우 느리게 자라고, 빛에 노출되면 생장을 멈추고 죽는 것을 확인했다.

또 사르202 세균은 일반적인 세균의 운동기구인 편모대신 고균(고세균, Archaea)의 특징인 아케엘라 운동기구 유전자를 가지고 있어, 고균으로부터 많은 유전자를 획득했을 것으로 추정했다.

이와 함께 사르202 세균은 게놈에 다양한 유기물 분해 유전자를 가지고 있으며, 실제로 푸코스, 람노스, 푸코네이트 등 다양한 유기물을 이용해 실험실에서 생장했다.

이로부터 사르202 세균은 게놈에 존재하는 여러 종류의 물질분해 유전자를 활용하여 심해 유기물을 청소하는 역할을 수행하리라 예상된다.

연구팀은 배양된 사르202 세균을 ‘빛을 싫어하는 해양세균’이라는 뜻의 ‘루시푸기모나스 마리나’로 명명했다. 아울러 사르202 세균은 생물분류체계에서 새로운 목에 해당해 ‘루시푸기모나달레스’라는 목이 새롭게 탄생했다.

조장천 교수는 “전 세계 미생물학자들이 오랜 시간 실체를 확인하고자 했던 사르202 세균을 국내 바다에서 배양해 해양 미생물 연구의 돌파구를 마련했다”면서 “후속연구를 통해 사르202 세균에 존재하는 수많은 유기물 분해 유전자의 기능을 확인할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기사가 마음에 드셨나요?

충청뉴스 좋은 기사 후원하기


※ 소중한 후원금은 더 좋은 기사를 만드는데 쓰겠습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