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연구재단, 다배체 작물 유전적 특성 이용 전략 소개
한국연구재단, 다배체 작물 유전적 특성 이용 전략 소개
  • 이성현 기자
  • 승인 2023.09.06 12: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유전자 편집을 이용한 육배체 유전형 분리법
유전자 편집을 이용한 육배체 유전형 분리법

[충청뉴스 이성현 기자] 국내 연구진이 밀, 감자 등 다배체(polyploid) 작물들이 가진 장점을 이용해 생산성을 올리는 새로운 전략을 제시했다.

한국연구재단은 경상국립대 박순주 교수와 식물생명공학연구소 김근화 박사 연구팀이 다배체 작물이 가지는 유전적 특성을 활용, 식물 양적 형질의 다양성을 구현해 생산성을 증대할 수 있음을 증명했다고 6일 밝혔다.

야생에 존재하는 많은 식물들은 대부분 다배체 형태로 존재하지만, 유전체 크기가 크고 반복 서열 등의 문제로 인해 연구에 한계가 있었다.

그러나 최근 차세대 시퀀싱 기술과 유전자 가위(CRISPR)를 이용한 유전자 편집 기술이 활성화되면서 연구 진입이 비교적 용이해졌다.

이에 연구팀은 한국에서 자생하는 가지과 종 육배체(hexaploid) 작물인 '까마중'의 유전자를 편집해 이배체 조상 식물인 미국 까마중과 직접 비교한 결과 많은 수의 유전자들이 동조 유전자 형태로 3배수 존재하며 기능적으로 잘 보존돼 있음을 증명했다.

연구팀은 식물 꽃대 발달 또는 구조 결정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유전자를 편집해 활성화된 동조 유전자의 숫자가 다양하게 나타나는 유전형의 식물체들을 획득할 수 있었다.

각 개체들의 표현 형질을 조사한 결과, 생산성에 영향을 주는 형질들이 동조 유전자의 투여량 효과(dosage effect)에 의해 양적으로 구현된다는 것을 알아냈고, 그중 가장 생산성이 향상된 유전형 개체를 선발하는 방식으로 작물 개량이 가능함을 발견했다.

다배체화를 통한 유전자 편집 기술은 이배체 식물이 가지는 한계를 극복하기 위한 새로운 육종방법으로서 이용될 것으로 예상된다.

박순주 교수는 “다배체 작물의 생산성 향상뿐만 아니라 병 저항성이나 대사물질 함유 조절 등도 같은 전략으로 정교하게 조절할 수 있는지 검증이 필요하다”며 “똑같이 가능하다면 더욱 폭넓게 유용 다배체 작물을 개량해 나갈 수 있다”고 말했다.

기사가 마음에 드셨나요?

충청뉴스 좋은 기사 후원하기


※ 소중한 후원금은 더 좋은 기사를 만드는데 쓰겠습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