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청뉴스 이성현 기자] 한국과학기술원(KAIST)이 글로벌 기업과 협력해 양자 분야 인재 양성 및 우수 기술 확보에 나선다.
KAIST 양자대학원은 13일 오후 대전 본원에서 양자컴퓨터 분야의 글로벌 스타트업인 자나두(Xanadu)와 교육 과정 개발 및 인재 양성을 위한 협력 협정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이 협정을 바탕으로 KAIST 양자대학원과 자나두는 양자 컴퓨팅 및 양자 소프트웨어 프로그래밍 실습 위주의 전용 커리큘럼을 공동으로 구축해 교육에 활용할 예정이다. 자나두가 자체 제작한 오픈소스 소프트웨어인 페니레인(PennyLane) 및 클라우드 기반 하드웨어 등도 KAIST 학생들에게 제공한다.
학계와 산업계의 격차를 좁혀가는 현장 중심의 교육을 통해 졸업과 동시에 양자기술 분야에 뛰어들 수 있는 준비된 인력을 배출하고 양자 분야의 기술 선진국으로 꼽히는 캐나다와의 지속적인 국제 협력도 강화할 계획이다.
KAIST 양자대학원은 올해 2월 설립되었으며, 지난달 첫 신입생이 입학해 학사 운영을 시작했다. 양자 컴퓨팅, 양자 통신, 양자 센싱을 비롯한 양자기술 분야 전반에 걸친 석·박사급 인재 양성을 목표로 한국표준과학연구원(KRISS, 원장 박현민)과 '공동지도교수제' 등을 도입해 협력하고 있다.
또 다각도의 산학협력을 추진하는 과정에서 미국과 중국에 이어 세계에서 3번째로 양자 우위(Quantum Advantage)를 달성한 자나두와 협력 협정을 맺게 됐다.
자나두는 캐나다 토론토에 소재한 양자컴퓨팅 유니콘 스타트업으로 전 세계 모든 사용자가 접근할 수 있는 실용적인 양자컴퓨터 제작을 목표로 연구 개발을 수행 중이다.
크리스찬 위드브룩(Christian Weedbrook) 자나두 CEO는 “페니레인(PennyLane)이 KAIST의 교육 프로그램에 활용되는 것에 큰 기대를 걸고 있으며, 이러한 협력을 통해 양자 산업계에 즉시 투입될 수 있는 인재 양성에 기여할 수 있길 바란다”고 말했다.
김은성 KAIST 양자대학원장은 “자나두를 양자대학원의 첫 번째 해외 MOU 파트너로 맞게 되어 기쁘다”며 “두 기관의 협력은 양자 과학기술 분야에서 세계적으로 우수한 기술을 확보하는 것과 동시에 최고급 인력을 양성하는 주춧돌이 될 것”이라고 밝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