치의학 전문인재 양성 및 공공의료서비스 강화, 치과의료서비스 역차별 문제 등 해소 강조
[충청뉴스 김용우 기자] 대전상공회의소(회장 정태희)는 6일, 치의학 분야 전문인재 양성 및 대전세종 지역민의 공공의료서비스 개선을 위해 ‘지역 거점 국립대학교 치과대학병원 신설 건의문’을 보건복지부와 교육부에 각각 전달했다.
대전상의는 건의문을 통해 “최근 의대 정원 확대 논의가 사회적으로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지만, 치과대학 신규 설립은 기존 11개 치과대학의 부정적 견해로 진척되지 못하고 있는 상황”이라며, 183만 대전세종지역민들의 치과진료서비스 역차별 해소 및 공공의료서비스 강화를 요구했다.
또한, 최근 3년간(2019~2021년) 건강보험통계를 예로 들며 치은염과 치주질환 등 구강만성질환이 노인층에서 압도적으로 발생하고 있으므로, 환자들의 진료비를 낮추는 한편, 노인인구와 만성질환자 증가에 따른 의료인 양성이 뒷받침되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더욱이 장애인 치과진료의 경우, 비장애인보다 최소 30분에서 최대 3시간 가량 진료시간이 소요되고, 뇌병변과 지체장애인 등 장애 유형과 등급에 따라 보조인력과 전용 시설, 필수 장비가 필요하기 때문에 일선 병원에서 장애인 환자 진료를 꺼리기도 한다며 사회적 배려 대상자에 대한 건강권 확보를 위해서라도 신규 치과대학병원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대전 소재 원광대 치과병원이 지역민들에게 치과의료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지만, 장애인 진료 등에서 여전히 불편함을 감내하고 있고, 대학입시의 경우 치과대학 진학을 원하는 수험생들이 ‘지역인재 특별 전형’ 혜택에서 배제되고 있음을 지적하며, 진정한 기회의 균등 실현을 위한 치과대학병원 신설의 당위성을 피력했다.
또한, 치과대학 신설은 치의학 발전과 인프라 확충뿐만 아니라 대전시가 지향하는 4대 전략산업 가운데 하나인 ‘바이오헬스’ 분야 산업과의 연계로 시너지 효과가 더욱 커질 것이라고 덧붙였다.
마지막으로, 지역 거점 국립대인 충남대학교가 이미 의과대학을 두고 있어 치과대학 설립 후 치의학 분야 전문인재 양성이 가능하며, 보운캠퍼스 부지 내 치과대학 및 병원을 즉시 설립할 수 있도록 여건을 마련한 만큼, 대전세종지역 치과대학병원 신설을 강력히 촉구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