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TRI 홀로그램 기술, CES 혁신상 수상
ETRI 홀로그램 기술, CES 혁신상 수상
  • 이성현 기자
  • 승인 2023.12.07 11:01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유효 초점거리를 갖는 홀로그램 이미지 계산 및 필름 제작 참고도
유효 초점거리를 갖는 홀로그램 이미지 계산 및 필름 제작 참고도

[충청뉴스 이성현 기자]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의 홀로그램 기술이 소비자가전전시회(CES) 혁신상을 수상했다.

ETRI는 ㈜브이터치, ㈜제이랩, ㈜제이비랩 등과 공동연구·개발한 '공간 리얼 홀로그램 버튼 기반 비접촉 터치 기술'이 내년 초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 열리는 CES 혁신상에 선정됐다고 7일 밝혔다.

이번 수상케 된 CES혁신상은 ▲스마트시티 ▲스마트홈 ▲컴퓨터 주변기기 및 액세서리 등 3개 부분에서 기술의 혁신성을 인정받았다. 연구진은 향후 실증을 통해 실현 가능성을 검증할 예정이다.

이 기술은 키오스크, 차량용 디스플레이, 엘리베이터 버튼, 도로교통 표지판, 도어록 등 보안장치 등에 널리 활용될 것으로 보인다.

연구진이 이번 개발에 성공한 홀로그램은 일정한 면적 내에서 원하는 크기의 공간 홀로그램 이미지 제공이 가능하다. 아울러 사용자가 원하는 거리의 홀로그램 이미지 생성도 가능토록 컴퓨터 계산을 통해 공정을 개발했다고 설명했다.

연구진은 실제 홀로그램 필름을 만들기 위해 유리판에 홀로그램이 나타나도록 나노패턴을 입혀뒀다. 평상시에는 유리판이 투명하지만 빛을 비추면 이미지가 보여 연구진은 본 이미지를 화살표 형태로 보여줬다. 물론 화살표의 크기는 조절할 수 있고 화면 앞으로 튀어나오게 하는 거리 또한 조절된다. 홀로그램 이미지가 보이는 거리는 수십cm 이상으로도 띄울 수 있다.

실제 연구진이 시제품으로 만든 홀로그램은 광원이 들어가 있는 목업구조물 내 5cm×5cm 크기의 패널 안에 구성돼 있다. 패널 정면과의 거리 간격을 약 4cm 정도 두면 센서가 인식해 2.5cm×2.5cm 크기의 화살표 홀로그램 영상이 띄워져 보인다.

연구진은 붉은색(R) 광원을 활용, 화살표를 입력해 마치 화살표가 정면으로 툭 튀어나와 보이듯 만들었다. 공간상에 떠 있는 화살표를 터치하자 버튼 누름의 효과로 삑소리가 나며 문이 열렸다. 온·오프 스위치 개념으로 만든 셈이다.

기존에도 비접촉 터치 기술의 실생활 적용을 위해 큰 노력이 있었다. 하지만, 사용자 관점에서 비접촉 터치가 가능한 거리감과 비접촉 터치를 위한 공간감에 대한 인지 및 편의성이 떨어져 기술 보급에 한계가 있었다.

연구진은 비접촉 터치 기술과 함께 공간 이미지 형성이 가능한 홀로그램 기술을 접목해 이를 해결했다. 비접촉 터치를 위한 화면에서의 거리 및 위치 제공, 그리고 홀로그램 기술이 가지는 유일한 이미지 생성 시 공간 거리 조절이 가능해 짐에 따라 향후 개방형 공간감 제공이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

ETRI 연구진이 홀로그램 기술과 비접촉 모션센서 기술과의 기술융합을 제안하여, ETRI는 홀로그램 이미지에 대한 CGH 기반의 광학 시뮬레이션 및 제작 공정을 하였고 ㈜브이터치는 모션센서 기술과 비접촉 터치기술 개발, 그리고 홀로그램 기술과의 융합 개발에 주력했다. ㈜제이랩은 제작 공정에, ㈜제이비랩은 점·접착 소재 개발에 공헌하고 있다.

연구진은 비접촉 터치 공간 리얼 홀로그램 버튼 기술을 통해 COVID-19와 같은 접촉을 통한 바이러스 감염 경로를 차단해 생활안전을 확대한다는 방침이다. 또한, 디지털 배리어프리 기술 제공을 통해 디지털 취약계층에도 사용의 편의성을 제공할 계획이다.

ETRI 실감디스플레이연구실 김주연 박사는 “포스트-코로나 시대를 맞아, 바이러스 전파 등에 대한 우려를 줄여 공공장소에서 접촉을 통한 감염을 줄이는 데 필요한 적정기술"이라며 "공간 홀로그램 기술을 실생활에 적용한 세계 첫 실증 사례”라고 설명했다.

한편 ETRI는 해당 기술을 서울 노원구청에서 실증 검증할 예정이다. 아울러 스마트시티, 공공 키오스크, 공공건물의 터치버튼 관련 회사 등에 기술을 이전할 계획이다.

기사가 마음에 드셨나요?

충청뉴스 좋은 기사 후원하기


※ 소중한 후원금은 더 좋은 기사를 만드는데 쓰겠습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