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시, 일본서 유성복합터미널 아이디어 얻다
대전시, 일본서 유성복합터미널 아이디어 얻다
  • 김윤아 기자
  • 승인 2017.09.14 15:34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버스터미널, 대중교통 환승시설과 상업시설 둘러봐

유성복합터미널 조성사업 벤치마킹을 위해 대전시와 도시공사가 합동으로 지난 4일부터 오는 8일까지 일본을 방문했다.

요코하마 오산바시 국제여객터미널 전경

유성복합터미널의 새로운 수익모델을 찾기위해 대전시와 도시공사가 일본을 방문해 여객터미널과 고속도로 휴게소 등을 방문했다.

이번 방문단은 지난 4일부터 8일까지 대중교통 환승체계가 상업시설과 잘 어우러진 교통수범도시인 도쿄, 오사카, 후쿠오카를 둘러봤다.

대전시 양승찬 교통건설국장은 “대전시와 인구 등 도시여건이 유사한 하카다 등에서 대전에 도입 가능한 복합터미널 개발사업의 새로운 수익모델에 대한 아이디어를 얻었다”고 밝혔다.

오사카 난바역 1층에서 백화점 3층 연결/ 전철 개찰구 2층

버스터미널은 1,2층에 입지해야 한다는 고정관념을 탈피, 로열층(1,2층)에 상업시설을 입지해 사업자의 수익성을 증대한 오사카 난바역과,

후쿠오카 하카타 버스터미널 안내도 (좌측), 고속버스 승차장 (우측상단), 버스터미널 도로 지하상가(우측 하단)

버스 승․하차장이 터미널 내에 위치하도록 해 건폐율과 용적률을 최대한 활용, 건축공사비 절감효과는 물론 기상여건에 영향을 받지 않고 이용할 수 있도록 해 이용객 편익을 증진한 후쿠오카 하카다 버스터미널도 벤치마킹 할 수 있는 사례로 들었다.

하카다 버스터미널은 터미널 내에 호텔과 공공시설인 컨벤션센터도 있으며, 주중에는 회의장으로, 주말에는 다른 용도로 활용해 인구 유동성을 증대하고, 건축물의 활용도 제고하고 있다.

후쿠오카 텐진 버스터미널 안내도(좌측), 3층에 있는 고속버스 승차장(우측상단), 승차장 변동식 게이트(우측하단)

터미널 승차장에 고정식 승차홈이 아닌 공항, 철도역과 같이 변동식 게이트를 구성해 이용객의 환승거리를 단축하고, 터미널 사업자는 잔여 면적에 편익시설(상업)을 입점․활용하므로써 사업성을 제고한 후쿠오카 텐진도 벤치마킹 할 수 있는 사례로 들었다.

이외에도 터미널을 선박모양으로 건립해 건축물 자체를 관광자원으로 활용하고 있는 요코하마 오산바시 터미널도 눈여겨 볼만 한 것으로 시 관계자는 전했다.

대전시 관계자는“앞으로 유성복합터미널 사업관련 모든 방문 업체나 유치 활동 시 벤치마킹한 아이템을 제공해 사업 응모에 참여할 수 있도록 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기사가 마음에 드셨나요?

충청뉴스 좋은 기사 후원하기


※ 소중한 후원금은 더 좋은 기사를 만드는데 쓰겠습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