송전탑 부실공사로 산사태발생
한전측, 보수기간 끝났다 … 외면
한국전력이 산 정상에 세워놓은 청원군 옥산면 장동저수지 위 송전탑시설 부근에서 대규모 산사태가 발생, 비닐하우스와 묘지 등이 훼손됐으나 한전측은 하자보수기간이 완료돼 책임은 자치단체에 있다고 떠넘기고 있어 주민들로부터 비난을 받고 있다.
지자체도 늑장대응 비난

또 자치단체도 사고발생 이후 한달이 지난 최근에야 수로정비 등을 마치는 등 지자체의 늑장대응도 주민들로부터 비난을 받았다.
청주환경운동연합과 충북 창원군 옥산면 장동리 인근 주민들에 따르면 지난달 추석연휴인 9월 17~18일 사이 폭우가 쏟아지면서 당골마을 뒷산에 대규모 산사태가 발생했다.
이들은 10월 19일 산사태현장에서 ‘산전체가 무너져 내리면서 인근 1만여평의 농경지와 도로, 저수지가 토사로 뒤덮혔으며, 왕복2차선 도로가 2m가량의 토사와 바위 등으로 가득찼다”며 당시 상황을 설명했다.
이들은 한전이 지난 1999년 동림산 정상과 인근지역에 120m높이의 송전탑3개를 설치했으나 진입로 절개지를 복구하지 않아 지난 추석연휴 폭우때 산사태가 발생했다고 주장했다. 현지 주민들은 또 송전탑 건립 이후 한전이 흙더미와 폐목재를 방치하는 등 제대로 관리하지 않아 크고 작은 산사태가 계속됐다고 밝혔다.
이 마을주민 윤주영(49)씨는 “당초 산사태가 발생한 장소는 조그만 골정도가 형성돼 있었는데 이번 붕괴로 대규모 골자기가 만들어졌다”며 “송전탑 진입로의 흙더미가 무너져 내리면서 큰 산사태가 발생했다”고 말했다.
윤씨는 또 “이곳 뿐 아니라 인근 다른 송신탑 주변에서도 이같은 조짐이 보이고 있다”고 주장했다.
책임 떠넘기기
이와 관련, 조성우 한전 대전전력관리청 건설부장은 “송전탑 건설 이후 산림복구 규정대로 모두 복귀했다”며 “송전탑과 관련해서는 이와 유사한 민원이 많아 복구 준공검사후 하자보수기간인 5년이 지날 경우 해당 자치단체에서 유지·관리하도록 산림청에서 규정하고 있어 이번 사태의 복구책임은 해당 자치단체인 청원군에 있다”고 책임을 청원군에 떠넘겼다. 이에 대해 청원군 관계자는 “이번 산사태는 자연재해로 보고 복구계획을 수립해 놓은 상태”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