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형 철도통합무선망(LTE-R) 전국 확대 ‘가속’
원주~강릉 고속철도에 상용화 성공 후 대구선 등 3개 사업 계약체결
한국철도시설공단은 원주∼강릉 고속철도에서 상용화에 성공한 한국형 철도통합무선망(KR LTE-R)을 전국 철도망에 확대 적용한다고 31일 밝혔다.
철도공단은 지난해 원주∼강릉 고속철도 구간에 KR LTE-R 설치·시험을 거쳐 활용성을 입증했고, 기존 열차무선설비의 1∼2세대 무선통신방식(VHF,TRS) 혼용을 해소하고자 정부 부처와 협의를 거쳐 전국 철도망에 KR LTE-R을 확대 적용하는 중·장기 계획을 마련했다.
KR LTE-R이 전국 철도망에 확대되면, 열차무선 통신방식 혼용을 해소하고, 선로 변 철도시설의 실시간 모니터링, 사물인터넷서비스(IoT) 기능을 접목한 안전·자산관리 등 서비스 도입이 가능하다.
또한, 국가 재난안전통신망(PS-LTE)과 연계로 철도현장 등 재난상황 발생 시 재난통신망을 지원해 국민 안전향상에도 기여하게 될 것으로 기대한다.
더불어, KR LTE-R 전국 확대를 위해 2027년까지 전국 철도노선 총 4,726km에 신규건설과 개량사업을 통해 9500억 원 규모로 확충되며, 약 1만3000명의 일자리 창출도 예상된다.
한편, 철도공단은 지난 30일 SK 텔레콤 컨소시엄과 대구선(동대구∼영천) 복선전철, 동해남부선 부산∼울산 복선전철사업의 일광∼태화강 구간, 울산∼포항 복선전철사업의 태화강∼건천 구간 총 110km의 151억 원 규모의 계약을 체결했으며, LTE-R의 전국 확대 중·장기 계획의 첫 사업을 시작했다.
철도공단 최태수 전자통신처장은 “원주∼강릉 고속철도에서 우수한 성능이 입증된 KR LTE-R을 중·장기 계획에 따라 전국 철도망에 차질 없이 적용해 열차안전운행을 강화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