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학비즈니스벨트 사업 축소?
대운하 사업에 밀려 과학비즈니스벨트 사업착수 지연될 듯
이명박 대통령의 충청권 공약인 국제 과학비즈니스벨트 사업이 새정부가 출범한 지 두 달이 넘었지만
아무런 진척이 없어 그동안 유치를 위해 총력전을 펼치고 있는 대전시만 속을 태우고 있다.
국제 과학비즈니스벨트 사업을 범정부적으로 추진해도 부족할 대형사업을 공무원 5명이 전담하고 있어 사업축소와 사업추진이 늦어질 것이란 우려가 확산되고 있다.
지난 9일 바른과학기술사회 실현을 위한 국민연합(이하 과기련) 주최로 열린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 포럼에서 새 정부가 출범한 지 석달째, 이명박 대통령의 충청권 핵심공약인 국제 과학비즈니스 벨트사업은 아직 아무런 진전이 없다고 우려를 제기했다.
교육과학기술부내 전담팀에서 사업 검토만 석달째 하고 있다. 당초 30명이 넘던 인력을 5명으로 줄여놓다 보니 검토단계부터 속도를 낼 수가 없다는 지적이다.
관련 부처간의 백지상태에서 모든 걸 재검토하는 상황으로 사업예산이 3조원이 필요한 대형사업인 만큼 국토해양부와 기획재정부가 함께 나서 연구시설의 입지와 예산책정 문제를 초기부터 함께 논의할 필요가 있지만 전담조직이 교육과학부에만 있다 보니 추진이 더딜 수밖에 없다고 전망했다.
이러다 보니 관련부처와 청와대 간에 회의다운 회의한번 없었을 뿐만 아니라 청와대하고 이런 거에 대해서 교감을 나눈 건 아직도 없어 청와대의 관심도 식은 듯한 모습이다.
교육과학기술부는 올해안에 계획을 확정하는 등 사업에 차질은 없을 것이라고 밝혔지만 당장 가능한 일부터 착수해야만 차질없이 실효성있는 결과를 얻게 될 것이라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정부는 법적.제도적 장치는 빨리 만들어 그 다음 단계인 실행투자를 하는 것은 5년이 걸릴 지 10년이 걸릴 지 정확한 청사진을 확실하게 밝혀야 할 것이다.
대전시와 충청권의 숙원사업인 국제 과학비즈니스벨트 사업에 대한 새 정부의 실천 의지가 시험대에 올랐다.
한편 국제 과학비즈니스벨트 사업은 "벨트가 지역별 기능을 극대화할 수 있도록 대전~행정도시~오송·오창~청주공항을 잇는 순환형 신교통 수단을 구축하고 충청고속도로와 충청선 철도 등 광력교통망 구축도 병행해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대전시는 현재 충청권의 공동발전방안 연구, 광역클러스터 구축, 산업별 인적네트워크 구축 등 사업을 추진 중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