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시, '청년이 모르는' 청년정책 추진

600명 목표 주택임차보증금 융자지원사업 13명 혜택

2018-02-27     김윤아 기자

대전시가 청년 주택임차보증금 융자지원사업 등 청년들을 대상으로 한 다양한 지원사업을 펼치고 있으나 홍보가 제대로 안돼 본래 취지를 살리지 못하고 있다.

시가 추진하고 있는 청년지원사업은 청년주택임차보증금융자지원사업, 청년취업희망카드, 대전형 청년내일채움공제, 청년커뮤니티지원사업 등이다.

27일 시에 따르면 지난해 처음 시행한 주택임차보증금 융자지원사업은 목표 인원이 600명인데 겨우 17명만 신청했고, 이들 가운데 13명이 지원을 받았다. 또 시는 지난해 6000명에게 청년취업희망카드를 지원한다는 목표를 세웠으나 이에 크게 못미치는 4715명이 신청, 3672명이 지원을 받는데 그쳤다.

이는 제반 절차가 까다로운 점도 있지만 근본적인 문제는 대다수 청년들은 이 같은 청년 지원 정책들이 있는 지 조차 모르는 등 홍보가 제대로 되지 않았기 때문이라는 지적이 많다.

그동안 시는 언론에 사업시행 공고와 보도자료 등을 배포했고 캠페인, 청년기자단 등도 활용했지만 실효를 거두지 못했다. 대다수는 지인에게 전해 들은 지원사업에 신청하기 위해 시청 홈페이지 공고란에서 일부러 찾아 봐야 했다.

동구 삼성동에 사는 A씨(27)는 "(지원정책이) 있는 줄도 몰랐다"면서 "'카카오톡 플러스친구' 등을 통해 정책을 소개하고 홍보했으면 좋겠다. 탁상행정이 아닌 시민에게 찾아가는 서비스가 절실하다"고 비판했다.

중구 선화동에 거주하는 B씨(26)도 "방을 구하고 나서 주택임차보증금 지원하는 정책이 있다는 사실을 알았다"며 "미리 알았으면 무조건 신청했을 것"이라고 아쉬움을 토로했다.

이에 따라 시는 올해 신청 자격을 미취업자와 졸업예정자에서 재학생까지 확대하는 등 제반 요건을 대폭 완화, 청년들의 적극적인 참여를 유도한다는 방침이다.

시 관계자는 홍보 부족을 공감하면서 "청년들을 위한 온라인 플랫폼이 3월 말에 완성된다"며 "문화, 일자리지원, 활동 공간, 정책 등을 총망라한 공간을 구성할 계획"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