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시, 초고유가 해법 교통에서 찾는다

교통수요 감축, 업무용 택시제 도입 등

2008-07-13     김거수 기자

 대전광역시가 초 고유가시대를 맞아 에너지 절약을 위한 교통수요관리 대책을 수립하고 15일부터 본격적인 시행에 들어간다.

대전시는 우선, 공공기관의 관용차량과 공무원 자가용 승용차 홀짝제를 15일부터 의무 시행하고 민간부문도 자율참여를 유도해 나가는 한편 공무원 출장시에 택시를 이용하는 ‘업무택시제’도 본격 시행된다.

또, 하반기에는 교통유발부담금 경감 등에 관한 조례를 개정해 대중교통접근성이 좋은 도시철도 역사주변의 ‘급지’(주변교통여건별 등급기준)를 상향 조정하고 ‘업무택시제’ 도입을 경감항목에 신규로 추가하는 한편, ‘자전거 이용’ 경감비율도 상향조정한다는 방침이다. 

 대전시는 오는 10월 본격 개통하는 간·지선체계 노선개편도 정시성과 배차간격을 효율화하고 신개발지를 중심으로 노선공급도 대폭 확대하는 한편, 버스전용차로도 확대해 2010년까지 현행 38㎞를 62㎞까지 확대하고 관내 전역의 승강장을 지붕있는 승강장으로 교체해 대중교통수요를 확대해나갈 계획이라고 밝혔다.

자전거 인프라도 대폭 보강한다. 2011년까지 자전거 전용도로를 간선가로 72㎞, 생태하천로 51.1㎞를 조성하고, 보도턱 낮추기, 보관대 확충 등 기반시설 확대와 함께 올 하반기 5,000대를 먼저 공급할 예정인 공용자전거도 2010년까지 2만대를 도입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주차상한제 도입도 추진된다. 낮은 주차요금이 승용차 이용을 부추긴다는 판단에 따라 승용차 주차수요가 많은 둔산, 유성, 중앙로 주변 원도심 등을 대상으로 2010년 주차상한제를 시범운영하고 인상된 주차요금은 전액 대중교통 시설에 사용한다는 방침이다. 대전시는 현재 7대 도시 가운데 주차요금이 평균 시간당 1,300원대로 가장 싸다.

주차상한제와 주차요금 인상은 시내버스노선 개편과 대중교통시설 개선 효과가 가시화되고 시민공감대를 확보한 후 2010년께 이를 도입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시 관계자는 “대전은 승용차 수송분담율이 56.1%에 이르고 전국 최고의 유류 소비도시”라며 “교통수요관리를 통한 에너지 절약에 전시민이 적극적인 관심과 참여로 에너지 위기를 극복하는데 힘을 모아 줄 것을 당부한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