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시, 자전거 국제심포지엄 개최

2008-07-14     성재은 기자
대전발전연구원은 14일 대전컨벤션센터에서 국내외 자전거 전문가를 초청, '푸른 자전거 도시 대전을 위한 국제심포지엄'을 개최했다.

정남준 행안부 제2차관을 비롯한 행안부 자전거정책 실무책임자와 네덜란드, 프랑스, 일본 등지의 전문가들이 참여한 이날 심포지엄에서 세계자전거연합회 회장파스칼 반 덴 노르트 회장은 "대전을 포함한 한국의 자전거 교통의 잠재력이 매우 크다"며 "고유가로 인해 유럽의 자동차 판매량이 최근 8% 가량 낮아졌으며 암스테르담의 경우 시장이 자전거로 출퇴근을 하는 등 자전거 분담률이 60%에 이르렀다"고 설명했다.

그는 또 "중요한 것은 지속가능한 이동성에 대한 관심이며, 이제는 자전거만으로는 부족해 앞으로는 전기버스나 하이브리드카 등 친환경적인 모드로 정책을 확대해 이들을 위한 전용차로 계획까지 구상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모리모토 우츠노미야 대학교수는 "일본은 보도 위 자전거 도로의 위험성을 진작부터 인지하고 있어 도로 구조령을 개정해 이제는 차도에 자전거 도로를 설치하는 것이 가능하게 됐다"며 "자연히 방치자전거 처리와 자전거의 안전 등에 주력할 수 있었다"고 밝혔다.

휴베 뻰뉴에 프랑스 국토환경부 정책조정관은 "프랑스는 자전거 이용 활성화 정책의 한차례 실패를 거쳐 2005년부터 공공자전거 도입과 자전거 위주의 정책을 펼치면서 자전거 이용률이 급격히 증가하면서 정책적으로 성공하고 있다"고 밝혔다.

국토연구원 류재영 박사는 "자전거 이용자의 법적 지위를 보장할 수 있도록 도로법 관련 규정을 개정하고 자전거 보험 등을 검토해야 한다"고 개선방안을 제시했다.

대전발전연구원의 이재영 박사는 "대전시가 그동안의 노력으로 자동차 분담률을 2.8%까지 끌어올려 전국 광역시 가운데 가장 높은 분담률을 보이고 있지만 아직도 매우 위험한 자전거 도로가 많다"며 "2016년에는 자전거분담률 10% 목표를 자전거 전용차로 건설과 자전거문화시범지구 조성, 유비쿼터스 기술을 이용한 공공임대자전거 운용, 자전거 횡단시설 등 다양한 활성화 계획을 추진하고 있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