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인적 차원에서 돈 주고 난자 채취"
노성일 이사장, 황우석 교수 모르는 일
황우석 교수팀에게 배아줄기 세포 연구용 난자를 제공해온 노성일 미즈메비 병원 이사장은 "이 난자를 기증한 여성들에게 실비 차원의 보상금을 지급한 것은 사실"이라고 밝혔다.
연구원들이 난자를 제공했다는 의혹에 대해서는 정확한 답변을 피했다.
황우석 사단의 노성일 미즈메디 병원 이사장이 21일 기자회견을 가졌다. 이 자리에서 노 이사장은 "난자를 기증한 여성들에게 보상금을 지급한 것은 사실"이라고 밝혔다.
난자 공여자에 대가 지급 사실 확인…노성일 이사장, "생계지장 초래한 데 대한 보상 차원"
"2002년 후반 황 교수의 요청에 따라 연구에 착수했지만 좋은 난자를 기증받기가 어려워 어느 정도의 보상을 전제로 난자를 기증받을 밖에 없었다"는 것이다.
노 이사장은 "난자 공여자에게 생계에 지장을 초래한 15일간의 보상 차원에서 150만원 정도의 실비를 제공하고 연구를 위해 난자를 제공받은 적이 있다"고 밝혔다.
노 이사장은 "경제적인 어려움 때문에 기증한 여성들도 있었겠지만 아무런 대가없이 순수하게 난자를 기증한 여성들도 있었다"고 말했다.
노 이사장, "개인 비용으로 지급…황우석 교수 사실 알지 못했다"
난자를 제공하는 여성들은 열흘동안 매일 과 배란을 유도하는 주사를 맞아야 하고, 또 난자를 채취한 다음에는 가벼운 마취를 해야 한다.
노성일 이사장은 "이같은 불편과 희생을 감수한 분들에게 교통비 등을 보상하는 차원에서 적정한 비용을 지불하는 것은 당연한 것으로 생각했다"고 밝혔다.
또 연구비가 아니라 개인 비용을 털어서 지급했다고 해명했다. 또 "황우석 교수는 이같은 실비 지원 사실을 알지 못했다"고 노 이사장은 덧붙였다.
현행법상 연구용 난자를 채취하면서 금전적인 보상을 하는 것은 불법이다. 그러나 이번에 문제가 된 난자를 채취할 당시는 생명윤리법이 만들어지기 이전이었다.
노 이사장은 "당시 상황을 연구후에 만들어진 지침으로 단죄하거나 비윤리적으로 평가하는 것은 온당하지 않다"고 주장했다.
3>섀튼 교수의 갑작스런 결별로 불거진 윤리적 논란, 핵심은 황우석 교수팀의 연구원들이 난자를 제공했다는 의혹이다., 이에 대해서는 어떻게 해명했습니까?
섀튼 교수의 갑작스런 결별로 불거진 윤리적 논란, 핵심은 황우석 교수팀의 연구원들이 난자를 제공했다는 의혹에 대해 노 이사장은 "의사로서 연구에 깊숙이 참여했는데도 불구하고 많이 밝히지 못한 것은 의사의 윤리규정과 현행법을 어길 수 있기 때문"이라며 명확한 답변을 피했다.
뭔가 알고는 있지만 의사 윤리상 말할 수 없다는 뜻으로 해석된다.
한편 황우석 교수나 안규리 교수 등 연구팀 관계자들은 노성일 이사장의 기자회견에 대해 아직 이렇다할 반응을 보이지 않고 있다.
황 교수는 23, 24일쯤 난자 제공 논란에 대한 그동안의 자체 조사 결과와 그에 대한 입장을 밝힐 것으로 전해졌다.
그러나 황 교수의 해명에도 불구하고 의혹이 해소되지 않을 경우 정부는 별도 조사를 실시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황우석 교수, 금명간 입장 밝힐 전망…여성 각계서는 '자발적 난자 기증' 움직임 일어
황우석 교수팀의 배아줄기 세포 연구는 어떤 일이 있어도 계속돼야 한다는 취지다,
여성기업인과 국회의원, 변호사, 연예인 등 각계 인사와 난치병 환가 가족이 '연구와 치료목적 난자 기증을 지원하기 위한 모임'을 설립했다.
재단 초대 이사장을 맡은 (주)아이콜스 이수영 대표는 "난치병 치료 연구에 필요한 난자가 법적, 윤리적 문제 등으로 절대 부족한 형편이어서 여성들의 자발적인 참여를 이끌어 내기 위해 모임을 만들었다"고 말했다.
CBS사회부 천수연 기자 csylove@cbs.co.kr